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수운 최제우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시론(試論) -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Preliminary Essay on Using the Contents of Choe Je-u(崔濟愚) - Focusing on Daegu Area -

우수영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56호 2020.09 pp.271-30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of applying and distributing Choe Je-u(崔濟愚)’s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nts to the space-type contents as a strategy for modern succession of the Donghak(東學) Spirit,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Thes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associated with the realistic regional cultural industry without remaining in the content zone called culture. In relation to this,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is demanded a research available for uniting the process from understanding the whole field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p to processing and creating into one. This study is discussed a meaning and a value of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literary work relevant to Choe Je-u, and then is progressed the creation process of space-type contents placed in Daegu on the basis of this. The Yeongnam region is the cradle of ‘Donghak’ that is Korea’s homegrown culture. Among the rest, Daegu is especially a place where Choe Je-u(1824-1864) as the founder of Donghak was executed under the name of a crime dubbed Jwadonanjeong(左道亂政) in 1864. What Choe Je-u was arrested and executed at that time was recorded in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and 『Cheondogyo-changgeonsa(天道敎創建史)』. Also, Lee Gwang-su(李光秀) embodied Choe Je-u’s scene of the Daegu execution in 「The Holy Death」, which is a novel of being included in 『Gaebyeok(開闢)』. These three materials correspond to the background of Choe Je-u’s space-type content situated in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ill need to be operated properly for each spatial function with being secured the acceptance space, the empathy space and the experience space.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being likely arranged a place of Daegu area that empathizes with the revolutionary spirit of Donghak in addition to a pride of Donghak,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自生) 문화인 동학(東學)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전략으로써 최제우의 역사적ㆍ문학적 콘텐츠를 공간형 콘텐츠로 활용하고 유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문화라는 콘텐츠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지역 문화 산업과 관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획-제작-유통의 전체 분야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가공과 창출까지의 과정을 하나로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제우 관련 역사 기록 및 문학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논한 후 이에 바탕하여 대구 소재 공간형 콘텐츠의 창출 과정이 진행된다. 영남지역은 한국 자생 문화 ‘동학’의 발상지이며 그중 특히 대구는 동학 교조 최제우(1824-1864)가 1864년 좌도난정(左道亂政)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된 곳이다. 당시 최제우의 체포와 처형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및 『천도교 창건사』에 기록되었다. 또한 이광수(李光秀)는 『개벽』수록소설 「거룩한 죽음」에서 최제우의 대구 처형 장면을 형상화하였다. 이들 세 자료들은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의 바탕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가 구상되었다. 즉 대* 본 논문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주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년도 제1차 전국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에는 수용공간ㆍ공감공간ㆍ체험공간이 구성되고, 각 공간의 핵심가치를 전달하는 소장 콘텐츠가 배치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에 대한 자긍심과 동학의 혁명 정신에 공감하는 대구 지역의 장(場)이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최제우의 역사적 기록
2-1. 조선왕조실록과 천도교 교단 기록
2-2. 최제우 순도에 관한 기존 논의
3. 최제우의 문학적 형상화
3-1. 거룩한 사람의 탄생
3-2. 거룩한 사람의 죽음
4. 최제우 문화콘텐츠의 현황 및 활용 제언
4-1. 최제우 관련 문화콘텐츠의 가치
4-2. 공간형 콘텐츠의 활용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우수영 Sooyoung Woo.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