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read of Donghak and its organization in Okche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lux of Donghak in Chungcheong-do began from the opening period of Je-woo Choi. However, the influx of Donghak to Chungcheong-do began in earnest from Choi Si-hyung’s immigration to Danyang in 1874. Based in Danyang, Choi Si-hyung expanded his ties t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gi-do. As of 1883, the church members of Chungcheong Province began to play a key role in the church. Byunghee Son, Cheonmin Son, Inho Park, Inju Seo, Byeonghak Seo, Jaebyeok Cho, Gyuho Lim, and Byeongdeok Kwon were talented people who entered the period at the time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four rounds of Gyojosinwon Movement(a movement to reinstate the unjust death of a religious founder) in 1892-3 years. Okcheon’s inflow of Donghak seems to be around 1886~1887 based on the activities of Gyuho Im and Jaebyeok Cho. Okcheon and Cheongsan showed rapid growth, although Donghak was passed on at a relatively late period compared to other areas of Chungcheong-do. In the 1890s, the relationship between Okcheon and Cheongsan became the targets of the exploitation of the pavilion. The central character of Okcheon Donghak was Park Seok-gyu, and the central character of Cheongsan was Park Won-chil. Park Seok-gyu and Park Won-chil played a key role in the denomination so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Gwanghwamun Gyojosinwon Movement in February 1893 as Bongsoin(봉소인). Park Seok-gyu served as a Okeuidaejeobju(옥의대접주) in the Boeun Gyojosinwon Movement, and Park Won-chil served as a Chongeuidaejeobju(청의대접주). They participated in the second phas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participated in the battles of Woogeumchi, Cheongju, Cheongsan, Boeun Buksil, and Yongsan Market in Yeongdong under Son Byeong-hee. For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k Seok-gyu was arrested and sentenced to death by the Cheongju barracks, but Park Won-chil’s actions are not revealed. As the power of Donghak in the Okcheon region grew, the organization of serving Daejubju(대접주), Sujubju(수접주) and Jubju(접주) was established with the peak of the headmaster Choi Si-hyung. There were affixes and reflections at each side, and there were a Podeokjang(포덕장) in charge of spread and a Dojip(도집) and Jibgang(집강) in charge of the post of Yuk-im(육임).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from the records of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at the number of positions related to military activities such as artillery, Unryangdo Superintendent운량도총관), Seonbongjang(선봉장), and military funding increas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Okcheon area was a religious organization before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but during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it rapidly transformed into a combat organiz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옥천 지역의 동학 전파와 동학 조직의 확산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충청도의 동학 유입은 최제우의 창도기 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충청도의 동학 유입은 1874년 해월의 단양 이주로부터 본격화하였다. 해월은 단양을 거점으로 충청도와 전라도, 경기도까지 교세를 넓혀나갔다. 1883년을 시점으로 충청도의 도인들이 동학교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손병희·손천민·박인호·서인주·서병학·조재벽·임규호·권병덕 등이 당시 입도한 인재로 1892~3년의 4차에 걸친 교조신원운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옥천의 동학 유입 시기는 임규호와 조재벽의 활동으로 보아 1886~1887년경으로 보인다. 옥천과 청산은 충청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늦은 시기에 동학이 전해졌지만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1890년대에 들어와서 옥천과 청산의 동학도들이 관의 수탈 대상이 될 정도로 교세가 급성장하였다. 옥천 동학의 중심인물은 박석규이고 청산의 중심인물을 박원칠이었다. 박석규와 박원칠은 1893년 2월의 광화문복합상소에서 봉소인으로 참여할 정도로 교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박석규는 보은 교조신원운동에서는 옥의대접주로, 박원칠은 청의대접주로 활약하였다. 이들은 동학농민혁명 2차 기포에 동참하여 손병희 휘하에서 우금치, 청주, 청산, 보은 북실, 영동 용산시전투 등의 참전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의 실패로 박석규는 청주병영에 체포되어 참형되었으나 박원칠의 행적은 드러나지 않는다. 옥천 지역의 동학 세력이 성장함에 따라 교주 최시형을 정점으로 대접주-수접주-접주의 조직을 갖추었다. 각 접에는 접사와 성찰이 있었고 포덕을 담당하는 포덕장과 육임의 직책을 맡은 도집과 집강 등이 있었다.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포군, 운량도총감, 선봉장, 군자금 담당 등 군사 활동과 관련한 직책이 늘어났음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옥천 지역의 동학 조직은 동학농민혁명 이전에는 종교적 조직이었지만 동학농민혁명 시기에는 급격히 전투조직으로 변모하였다.
목차
1. 서론
2. 옥천 지역으로의 동학의 전파
3. 옥천 지역의 동학 확산과 동학 조직 정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