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작업치료사 역량지표개발을 위한 타당도 연구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홍민경, 김정란, 최강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SBOT). Identification of core competencies which includes knowledge, skills, and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Method: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with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SBOT background. Five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pediatric to adolescent population were selected from the Delphi responses. Competency indicators for SBOT in Korea were developed through collection and modification of the final Delphi data. Result: A total of 36 indicators were developed as competency indicators for SBOT. Three competency clusters— expertise knowledge, job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each consisting of 14, 11, and 11 competency indicator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ompetencies needed as SBOT on expertise knowledge and job skills,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needed to communicate with professionals from other disciplines.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developed in this study derives from socio-educational model, not medical model. Thus, this indicator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school curriculum.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적 모델에 기반을 두고 교사, 학생, 학부모, 학교 관계자 등과 협력적 팀 접 근을 이루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특성 등에 관한 핵심 역 량을 규명하여 학교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사 8명을 델파이 위원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에서는 학교작업치료사의 역량에 관하여 개방형 설문을 통해 의견을 수집 한 뒤 전문가 자문의원 5명의 자문을 통해 2차 델파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역 량에 대해 적합도와 중요도 각각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고, 델파이 조사결과에 대해 전문가 자문의원 5 명에게 자문을 받은 후에 최종 역량 지표룰 도출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결과 39개의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2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비율이 낮게 나온 7개 문항에 대해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 및 통합하여 최종 36개 지표가 도출되었다. 3개의 역량군은 전 문지식, 직무기술, 개인적 특성이었으며 각각 14개, 11개, 11개의 항목이 역량지표로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전문지식과 직무를 파악하고 타 전문가와 소통하는 작업치료사로서 필요한 기술과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의료적 모델이 아닌 사회적․교육적 모델에 기반을 둔 학교작업치료사의 역량을 도출하여 향후 학교작업치료사의 전문성 함양 을 위한 교육과정의 기틀을 마련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학교생활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 등과 협력 적 팀을 이루어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1차 델파이 조사결과
3. 1차 델파이 조사결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
4. 2차 델파이 조사결과
5. 2차 델파이 조사결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
6. 최종 역량지표 선정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홍민경 Hong, Min-kyung.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ᆞ박사 통합과정
  • 김정란 Kim, Jung-Ran. 카톨릭관동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 치매재활전문학과 교수
  • 최강미 Choi, Kang-Mi.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