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연령 관련 요인

원문정보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Age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이시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ag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Cross-section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8,040 older adults aged 65 years and over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 used univariable analysis and multivariable analysis by the logistic regression test.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age in older adults were gender, education level, living arrangements, limit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number of chronic diseases,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current economic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needed to lower subjective ag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older adults to have a healthy and successful old ag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연령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7년 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8,040명을 대상으로 이차 분석한 횡단 연구이다. 노인의 주관적 연령과 관련 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변수만 추출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 였다. 본 연구결과, 성별, 학력, 거주형태, IADL 제한, 만성질환 수, 지각된 건강 상태, 우울 및 현재 경제활동 여부가 노인의 주관적 연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주관적 연령을 낮추기 위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들이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후를 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분석방법
2.6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인구학적,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요인
3.2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연령 관련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시은 Si-Eun Lee.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