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손상감시를 위한 핵심데이터 선정과 보완

원문정보

The Selection and Supplementation of Core Data for Injury Surveillance

임준규, 김한결, 이현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urden of injury is widely considered to be very severe in our society. Nonetheless, we don’t have enough data for injury surveilla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and supplement CORE DATA for injury surveill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d analyzed the literature such as the Quality Assessment Report about ‘Causes of Death Statistics’, ‘Health Insurance Statistics’ and ‘Hospital Discharge Injury Surveillance’ according to the six dimension of Statistics Quality. The analysis result is that ‘Cause of Death Statistics’ and ‘Health Insurance Statistics’ have the usefulness as the CORE DATA for injury surveillance. But there is a significant shortcoming in th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which is that there is a lack of the data about the external causes of injury. For supplementing the defect, this study proposes the system that the medical institutions should obligatorily report the external causes of injury when claim National Health Insurance Medical Care Expenses. As the results of this system, we can expect ‘Establishing of Injury pyramid’, ‘Data Connecting with the National Pension’ and ‘Improving the Promptness of Injury Data’. And we expect the follow-up study for the realization of this system.

한국어

손상부담은 우리사회에서 매우 심각한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상감시에 필요한 데이 터가 충분하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손상감시를 위해 핵심 데이터를 선택하고 보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통계품질 6가지 차원에 따라 '사망원인통계', '건강보험통계', '퇴원손상조사'에 대한 품질평가보고서 등의 문헌을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사망원인통계'와 '건강보험통계'가 손상감시를 위한 핵심데이터로서 유용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보험통계’에는 손상외인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 의료비 청구 시 의료기관이 손상외인을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하는 제도를 제안한다. 이 제도의 결과로 서 우리는 '손상 피라미드 구축', '국민연금과의 데이터 연계', '손상 데이터의 시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도 실현을 위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범위
2.1 선행연구 고찰
2.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1 손상외인 분류기준
4.2 손상감시 핵심데이터 선정
4.3 건강보험데이터 외인데이터 보완방안
5. 결론 및 기대효과
5.1 결론
5.2 기대효과
6. 연구의 한계
REFERENCES

저자정보

  • 임준규 Joon-Kyu Lim. 통계개발원 사무관,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박사과
  • 김한결 Han Kyoul Kim.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박사후연구원, 국립교통재활병원 교통재활연구소 연구원
  • 이현실 Hyun-Sill Rhee.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