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의 화재모의훈련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fire response ability : Focusing on the fire simulation training of business facility

김봉준, 류구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fire simulation training to improve fire response capability, fire simulation training is conducted for three business facilities, and changes according to whether training materials are used and whether the response time for each response stage is reflected in the training evaluation. The response posture and response ability of the training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most of the training participants improved their participation in training, response posture, and response ability when the use of training textbooks and response time for each response stage were reflected in the training eval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simulation training, a number of training materials that can similarly implement the fire situation are used to improve and maintain the fire response capabilities (fire notification and fire report, initial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of the training participants, and the target time for each response step. The result was that it can be used as a useful index for improving fire response capability and improving fire simulation training in the future and feedback only when quantitative training evalu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is setting.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3개의 업무시설물을 대상 으로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교보재의 활용 여부와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의 훈련평가 반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훈련 참여자들의 대응자세 및 대응능력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다수의 훈련 참가자들은 훈련 교보재 활용과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이 훈련평가에 반영될 때 훈련 참여도, 대응자세 및 대응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 모의훈련을 실시할 경우 훈련 참여자들의 화재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대피) 향상과 유지를 위해 화 재발생 상황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훈련 교보재를 다수 활용하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 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선행연구 검토
1.3 연구 방법 및 내용
2. 본론
2.1 화재모의훈련 대상의 건축물 현황
2.2 화재모의훈련 실시
3. 결론
3.1 훈련 결과
3.2 연구의 한계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봉준 Bongjun Kim. 한세대학교 스마트시티안전융합과 박사과정
  • 류구환 Guhwan Ryu. 한세대학교 스마트시티안전융합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