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reativity, Team Trust, Team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at Universities
초록
영어
In recent years, collabo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courses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dividual creativity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 team trust and collective efficacy were used as variables of teams to see the relationship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Data were collected from 770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do, H University in the Daejeon, and K University in Chungcheong-do, and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s results, individual creativ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eam trust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study will be able to utiliz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nstructional design and strategie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universities.
한국어
최근 대학수업에서 공유된 교육목표를 토대로 집단을 이루어 함께 학습하는 협력학습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집단지성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협력학습에서 집단지성을 높일 수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개인변인으로 개인창의성, 팀관련 변인으로 팀신뢰와 팀효능 감, 학습성과변인으로 집단지성을 선정하여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협력학습에 참여한 경기지역 A 대학교, 대전지역 H대학교 및 충청지역 K대학교의 학부생 7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창의성은 팀효능감과 집단지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팀 신뢰는 팀효능감과 집단지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팀효능감은 집단지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는 향후 대학 협력학습의 수업설계 및 운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협력학습
2.2 개인창의성
2.3 팀신뢰
2.4 팀효능감
2.5 집단지성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연구절차
4.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2. 측정모형 검증
4.3. 구조모형 검증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