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Critical Review : A Strategy for SNS-based Writing Practice to Leverage Less Proficient Students’ Participation and Pedagogical Performance. Lee, Kwang-Soon & Kim, Bong-Gyu(2014)

원문정보

논평:‘SNS 기반 영어 쓰기 활동에 초급자의 참여와 성과 유도를 위한 학습 전략’에 대한 활동이론 적용 제안

Lee, Seorah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o review the research paper entitled “A Strategy for SNS-based Writing Practice to Leverage Less Proficient Students’ Participation and Pedagogical Performance” written by Lee Kwang-Soon and Kim Bong-Gyu in 2014 and second, to suggest an appropriat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search paper. In this paper, I start with reviewing the research by present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he second part critic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proposes to use Activity Theory as a suitable framework.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ctivity system to the research, the current critical review shows how useful Activity Theory in explaining the students’ mobile activities and analyzing the research findings.

한국어

본 논평은 ‘SNS를 통한 영어 쓰기 활동에 초급자의 참여와 교육적 성과를 유도 하기 위한 학습 전략’에 대한 학술논문을 비평한 글이다. 해당 학술논문에서 교사 는 초급 학생들의 글쓰기 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업 모형을 만들어 제시하였 다. 교사는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제시해 학생들의 배경지식 및 영어쓰기에 필요한 전략을 학습시키고 카카오톡을 이용한 글쓰기 연습을 통해 그에 대한 인식 및 성 과 활동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도구로 설문조사 후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였다. 그 러나 논문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 모호하여 교사가 제시하는 전략을 뒷받침 하고 학습활동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평에서는 이론적 배경의 미흡한 부분을 밝히고, 해당 연구에 적합한 이론적 틀을 제시할 것 이다. 적절한 분석 도구로서 비고츠키(Vygostky)의 ‘활동이론(Activity Theory)’ 을 제안한다. ‘활동이론’은 학습활동을 주제로 하는 모든 연구의 유용한 분석 도구 로, 본 논평에서는 ‘활동이론’의 ‘활동체계(Activity System)’를 적용한 예시를 보 여줌으로써 해당 논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Paper Review
Ⅲ. Suggestion: Application of Activity Theory
Ⅳ.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저자정보

  • Lee, Seorah 이서라. Ph.D. Candidate, Dankoo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