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피터브룩《배틀필드(Battlefield)》안의 설화에 나타난 다르마(Dharma)의 의미

원문정보

Parables in Peter Brook's 《Battlfield》and The Meaning of Dharma

김기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eter Brooke, a world-renowned British director, created worldwide interest by performing the Indian epic 『Mahabarata』 in 1985. He was aware of the crisis in modern Western society and wanted to find the answer in the Eastern Dharma. Thirty years later, in 2015, Brook will stage a new epic in India under the name of Battlefield. The play was a static and epic style of performance, and uses a metaphorical parable way of explaining the theme of the play, 'Dharma'. Dharma is difficult to define as a word, such as law, duty, and purpose of life, so it is intended to convey its meaning easily through analogy.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arables in order to get a clear picture of the subject of the play. There are three parables in this play, each of which talks about the themes of 'destiny', 'justice' and 'death'. In this study, due to the nature of Indian literature combined with diverse ideas and cultures, the meaning of the parables was widely understood by finding, comparing, and analyzing Buddhist tales such as the three parables. The three parables were found in Buddhism scriptures 『Jataka』, 『Sutra on the Collection of the Six Perfections』, and 『Sutra of Parables』. The meaning of the parables was grasped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And by applying this to each narrative, the meaning of 'Dharma' could be clarified. An analysis of the parables at this level showed that Peter brook's 'Dharma' was closer to 'the right path as a human being to self-awareness and remorse' and that was the answer he wanted to convey to the world through 『Mahabharata』 today.

한국어

영국의 세계적인 연출가 피터 브룩(Peter Brook)은 1985년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를 공연하여 전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서양 현대 사회의 위기를 자각하고, 그 답을 동양의 ‘다르마(Dharma)’에서 찾고자하였다. 그 후 30년이 지난 2015년 브룩은 《배틀필드(Battlefield)》로 인도의 대서사시를 새롭게 무대화한다. 연극은 정적이며 서사적인 스타일의 공연이었으며, 극의 주제인 ‘다르마’를 설명하기 비유설화의 방식을 사용한다. ‘다르마’의 뜻은 법, 의무, 삶의 목적 등으로 다양하여 한 단어로 정의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비유설화를 통해 그 의미를 용이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극에서는 세 가지의 비유설화가 나오는데, 각각의 설화들은 ‘운명’, ‘정의’,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상과 문화가 결합된 인도 문학의 특성상 세 설화와 같은 불교설화를 찾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설화의 의미를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불교의 『전생담』,『육도집경』,『불설비유경』 등에서 세 설화와 같은 설화들을 찾을 수 있었으며, 설화의 의미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각 설화에 대입하여 봄으로써 ‘다르마’의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원에서 설화를 분석한 결과, 피터브룩이 말하고자 하는 ‘다르마’는 ‘자신을 자각하고 반성하는, 인간으로써 가야할 올바른 길’이라는 것에 가까웠으며, 그것이 그가 오늘날 『마하바라타』를 통하여 세상에 전하고자 하는 답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양의 예술정신은 오늘날 급변하는 세상 속 인간의 불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을 확인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다르마’를 향한 피터 브룩의 여정
Ⅲ. 《배틀필드》와 설화 속 ‘다르마’의 의미
1. 《배틀필드》의 줄거리
2. ‘운명’과 다르마
3. ‘정의’와 다르마
4. ‘죽음’과 다르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정 Kim, Ki Jung.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