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본 연구는 전민족적 항일운동인 3.1운동 이후 일본은 무단정치에 대한 노선을 변경하고 문화정치를 표방한 많은 회유정책 중 1922년에 창설한 조선미술전람회와 조선의 자연, 풍속, 풍물 등 조선의 미적 정조(情調)로 간주되는 향토적인 색채를 의미하는 조선향토색의 의미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 그 비평적 관점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미술전람회는 많은 신진작가들이 등용하게 되고, 그들의 작품 세계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반면 부정적 비판도 받고 있다. 그것은 조선향토색은 국가의 색채라기보다는 일제시기를 말해주는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향토적 표현을 말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의미는 일제 탄압 속에서 그나마 활발한 활동이 전개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독자적인 색채를 이루었다는 미술사적 의의와 회유정책에 동참했다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는 비평의 모순을 갖기도 한다. 이에 연구자는 조선미술전람회의 작품을 통해 조선향토색의 비평적 관점을 객관적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어
본 연구는 전민족적 항일운동인 3.1운동 이후 일본은 무단정치에 대한 노선을 변경하고 문화정치를 표방한 많은 회유정책 중 1922년에 창설한 조선미술전람회와 조선의 자연, 풍속, 풍물 등 조선의 미적 정조(情調)로 간주되는 향토적인 색채를 의미하는 조선향토색의 의미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 그 비평적 관점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미술전람회는 많은 신진작가들이 등용하게 되고, 그들의 작품 세계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반면 부정적 비판도 받고 있다. 그것은 조선향토색은 국가의 색채라기보다는 일제시기를 말해주는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향토적 표현을 말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의미는 일제 탄압 속에서 그나마 활발한 활동이 전개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독자적인 색채를 이루었다는 미술사적 의의와 회유정책에 동참했다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는 비평의 모순을 갖기도 한다. 이에 연구자는 조선미술전람회의 작품을 통해 조선향토색의 비평적 관점을 객관적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조선미술전람회와 개혁 운동
2. 조선향토색의 의미
Ⅲ. 조선미술전람회 작품의 조선향토색 분석
1. 동양화부 작품
2. 서양화부 작품
Ⅳ. 조선향토색에 대한 비평 관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