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기 동인지 『백맥』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 baengmaek』 that is a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the liberation period

양소영, 김민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 baengmaek 』. to consider about the nature of the 『baengmaek 』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first a literary novels, poems, in general consumer magazine review, props, such as organized.to exist But 『baengmae k』 is interspecies arc into the first issue did not get any attention.. But 『baengmaek』 was of good writers love literature, in many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Western culture, and opens a window of opportunity for the new literature, To pursue the spirit. In this regard, South Korea left valuable as an inheritance in literary history. Therefore, 『baengmaek』 is our important can be seen as a magazine in literary history. First of all, 『baengmaek』 the image. Poetic targets on young artists are a normal nature image, and expressed a sense of something inside themselves. Typically can lift jeong han mo and kim yun seong The two authors 『baengmaek』 the 『sitap』 the lyric poet to heavyweight. They have profound philosophical reasons for the deployment by a natural image. kim yun seong with nature is infinite, and this transcendent quality and human nature for a finite life more wonderful as space which is full of vitality. Jeong han mo ordinary country at the time through the nature of the low-key look to look at the reality effort. Secondly, 『baengmaek』 gloomy express the emotion of the city in the parts. The streets at night are depressed to the author of the city made sentimental captions and solitude. The city is forced by the Japanese city, and that city was produced relative deprivation. In this regard are as a writer more around the city without its own sense of purpose and for changing the sentiments of lonely. Finally, 『baengmaek』 free the first to express the joy of liberation as general consumer magazine art and literature, although that has largely free of way that we see the lack of self-control. Maybe emancipation of liberation is not a truly independent and other pain is being produced. This is made at low-key events with the liberation, as a writer. The writer is universal agreement among victim and perpetrator is a sense of liberation is restrained him and, therefore, was forced to have eye contact.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백맥』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에 있다.『백맥』은 해방 이후 첫 문예종합지로 소설, 시, 평론, 소품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백맥』은 창간호가 종간호 가 되어 버려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 했다. 하지만『백맥』은 당시 작가들에게 좋은 발표의 기회의 장을 열어 주었고, 서양 문화와 여러 이념의 갈등 속에서도 순수문학을 지향하며, 당시에는 새로운 문학적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다. 이런 점은 한국문학사에 소중한 유산으로 남았다. 이런 점에서『백맥』은 우리 문학사에 중요한 잡지라고 볼 수 있다. 우선,『백맥』에 자연이미지가 나타난다. 신진 작가들은 평범하고 단순한 자연이미지를 시적 대상으로 삼으며 자신의 문학 정신을 표출했다. 대표적으로 김윤성과 정한모를 들 수 있다. 이 두 작가는『백맥』에 이어『시탑』을 거쳐 서정 시인으로 자리를 굳혀 나갔다. 그 들은 자연이미지를 통해 깊은 정서가 담겨 있는 철학적인 사유를 전개시켰다. 김윤성은 자 연이 지닌 무한한 초월적인 특성과 인간의 유한한 삶의 대비를 통해 자연을 더욱 신비롭고 생명의 에너지가 넘치는 공간으로 묘사했다. 정한모는 평범한 자연을 통해 당시 조국의 현 실을 절제된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노력을 했다. 두 번째로,『백맥』에 도시의 우울한 감성을 표현한 부분이 있다. 도시의 밤거리는 작가 에게 멜랑콜리한 감성을 자극시키며 고독하게 만들었다. 당시 도시는 일제에 의해 강요된 유포피아적 욕망의 도시이고, 그런 도시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만들어냈다. 이런 점은 작가들로 하여금 목적의식 없이 더욱 도시를 배회하게 하며 고독의 정서를 더욱 가중 시켰다. 마지막으로,『백맥』은 해방 후 첫 문예종합지로 해방의 기쁨을 표현한 부분이 있지만, 대체로 해방을 바라보는 시선이 양면적이다.「독립풍경서」는 좌우익 갈등으로 한반도가 삼 팔선으로 가로놓인 상황을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는 내용을 담았다. 어쩌면 해방은 진정한 독립이 아니고 해방으로 다른 고통이 생산되고 있었는지 모른다. 이는 작가로 하여금 해방 을 객관적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들었다.「곡」에서도 작가는 해방의 기쁨보다 인간의 본질 에 대한 물음을 독자에게 던져 준다. 해방은 나와 타인, 식민/피식민지 이분법을 완전히 해 체시키는 것이고 식민지의 잔재나 기억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작가에서 모두가 피해자이고 가해자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고, 그러므로 그에게 해방은 양면적인 시선을 가질 수밖 에 없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 『백맥』의 문학사적 의의 및 문제 제기
Ⅱ. 김윤성, 정한모의 경우 - ‘자연’ 이미지를 통한 서정성 탐구
Ⅲ. 강허소, 목영철, 김시원의 경우 - 도시의 우울한 감성과 고독의 심미성
Ⅳ. 윤석범, 구경서의 경우 - ‘해방’에 대한 양면적인 시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소영 충북대
  • 김민옥 부산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