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 셀프 리더십 교과목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I 대학의 셀프리더십 진단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Learners’ Needs to Develop Self-Leadership Curricula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Self-Leadership Analysis of I University

이경자, 유정민, 정연재, 주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adership education is an important subject in the area of gener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elaborately analyze the learners’ needs for leadership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advisable direction for educators to take in order to develop leadership curricula for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we first studied the current personality building, or value-oriented leadership curricula, of major domestic universities to find the advisable direction, and then to revise or develop current and new leadership curricula where necessary. Based on the survey we performed between May 6 and May 29, 2020 given to the students of I University, we empirically analyzed the current self-leadership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find their detailed needs for leadership education. We then classified the students in different clusters regarding their level of self-leadership, and used the results to search for the learning factors, teaching methods, and the performance appraisal methods that the learners preferred. The results illustrat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we find that the comprehensive level of self-leadership, as well as its subordinate factors of self-reward and self-cueing,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learners. Also, the comprehensive level of self-leadership 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self-goal setting, self-reward, self-observation, self-cueing, natural reward, self-efficacy and self-dialogue a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jor study field of the students. Also, according to the learners’ clusters defined as the active self-leadership group, the passive self-leadership group, and the negative self-leadership group, they show different preferences over the learning or teaching methods and performance appraisal methods. Among these clusters, the active self-leaders group always report a higher level of preference regarding any type of teaching methods, compared to the negative self-leadership group. However, the preferred performance appraisal methods are found to be various among the different groups. Finally, as we search for the self-leadership capacities that the learners want to improve the most, we fi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the learner has, the stronger the level of desire to improve leadership capacities they exhibit for any leadership education facto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는 리더십 교육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하여 리더십 학습자 요구를 정교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국내 주요 대학의 가치지향적 리더십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리더십 교과목의 개발 방향을 정립한다. 다음으로는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현 황을 조사하여 셀프리더십 수준을 군집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더십 교육의 학습 요소 및 교수방법을 조사하 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 6일부터 5월 29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셀프리더십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전체와 하위요인인 자기보상, 자기단서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전공계열에 따라 셀프리더십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전체와 하위요인인 자기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관찰, 자기단서, 자연적 보상, 성공적인 수행 상상하기, 자기대 화가 전공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을 수준별로 군집화한 결과 적극적 셀프리더십, 소극적 셀프리더십, 부정적 셀프리더십 집단으로 군집화 되었으며, 군집별 선호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을 살펴본 결과, 적극적 셀프리더십 집단은 부정적 셀프리더십 집단에 비해 모든 교수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군집별로 다양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집별로 학생들이 향상시키고 싶은 셀프리더십 역량을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적극적인 리더십 역량 향상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초록
1. 들어가면서
2. 국내 리더십 교육 현황 및 리더십 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3. I 대학의 리더십 교과목 학습자요구도에대한실증분석
3.1 연구방법
3.2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자 Lee, Kyeongja.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교수
  • 유정민 Yoo, Jungmin.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교수
  • 정연재 Jeong, Yeon Jae.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교수
  • 주소영 Joo, Soyoung.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대학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