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도 여성장애인의 탈 국민기초생활수급 경험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xi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Recipience of Women with Acquired Disabilities

장성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like previous studies based on general conten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way of life in which they try to overcome their difficult circumstances they are faced with and try to make an effort for exi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recipience. In other words, by reflecting the shape of those women who receiv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and vivid understanding and deep identification of them from their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exit of recipience as a status of women with acquired disabilit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recipients living in Danyang-gun, the subjects of participants were women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d the exi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recipience. To look closely at the participants' daily lives, this study selected those who have a strong sense of activity and independence from among those who use the disabled welfare center, and the participants who were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selected by intentional sampling.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uld have had an inevitable parting from their families as their ordinary lives became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and with economic difficulties, they moved their ground of life to become a national basic livelihood recipient. However, they continued rehabilitation to overcome obstacles, and in the course of the hard work to get a job, they experienced a meeting with their family, a positive physical signal, and a hope to get a job in the electricity power public institution. Such a series of processes was the product of struggles to live an ordinary life.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habilitation course for education of women with acquired dis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elf-help group that can share the basic livelihood recipience experie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ird, this study proposes public relations to improve public awareness by preparing promotion materials in a way of storytelling for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women with disabilit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성 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연구한 기존연구와는 달 리 그들이 자신이 처한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자 노력하며 탈 국민기초생활수급을 위한 노력을 하는 삶의 모습을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생애사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즉,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 장애인의 삶의 모습을 그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그들의 관점 으로 생생하게 이해하고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특히 중도 여성장애인의 신분으로 탈 수급 을 선택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단양군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기초생활수급대상 중 탈 국민기초생활수급 을 경험한 여성장애인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상생활을 면밀히 살펴보기 위해 장애 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대상자 중에서 활동성 및 자립의지가 강한 사람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 참여자를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는 평범했던 삶이 중도장애인이 되면서 가족들과 어쩔 수 없는 이별을 했어야 했고, 경제적 어려움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고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되었다. 하지만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재활을 지속하였으며, 직업을 갖기 위한 힘든 노력의 과정에 서 가족과 만남, 신체적 긍정적 신호, 전력 공공기관에 취업을 하는 희망을 경험 하였다. 그런 일련의 과정은 평범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몸부림의 산물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여성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재활교육 과정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장애인의 기초생활수급경험을 공유 할 수 있는 자조집단 을 구성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성장애인의 자활과정을 스토리텔링기법으로 홍보자료를 제작하여 대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를 할 것을 제안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여성장애인의 실태
2.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
3. 선행연구 동향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방법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연구 참여자 소개
2.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성애 Jang, Sung-ae.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