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백파(白坡) 김구락(金龜洛)의 생애와 학문

원문정보

The life and Studies of Baekpa Kim Gu Rak

崔英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njae Jeon Woo, who succeeded the academic tradition of Yulgok School and completed the Neo-Confucianism of Kiho, educated as many as 3,000 pupi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southern Jeju to Kando in the North, and to the Youngnam region in the east, his disciples were scattered nationwide. This shows how influential Jeon Woo's position was.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studies of Baekpa Kim Gu Rak, who was one of Jeon Woo's literary men. Kim Gu Rak, who was renowned for being a Confucian scholar from Buan, joined Jeon Woo's school in 1912 when he was 16 and studied under him for about a decade. His father was so enthusiastic about education that he built a seodang(village school) called Gonhakdang(困學堂) in Gyehwado(界火島) where Ganjae was pursuing his studies. Kim Gu Rak succeeded to Jeon Woo's studies and thoughts devotedly. His views on the state of national affairs were not much different. It seems that he kept up with Ganjae's teaching which is to save the country through education. Yet, he had a wider range of thoughts and kept company with Buddhist monks, and sought Confucianism meeting with Buddhism. Moreover, he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oprieties and pleasure. He appreciated and enjoyed arts for his lifetime and left behind many poems. This study is primarily significant for introducing a Confucian who has not been examined to the academic world. I expect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analyze his studies and thoughts in the future.

한국어

조선 말기 율곡학파의 학문 전통을 계승하여 기호성리학의 매듭을 지은 간재(艮 齋) 전우(田愚)는 3천 명에 달하는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남녘의 제주에서부터 북 방의 간도(間島)에 이르기까지, 또 동쪽으로 영남 지역에까지 전국적으로 제자들이 분포하였다. 이것은 전우의 위상이 어느 정도였는가를 보여준다. 본고는 전우의 문 인 가운데 한 사람인 백파 김구락의 생애와 학문을 조명한 것이다. 부안 출신 유학 자로 이름이 있었던 김구락은 16세 때인 1912년에 전우의 문하에 들어가 만 십년 간 수학하였다. 그의 부친은 간재가 강학하던 계화도(界火島)에 곤학당(困學堂)이란 서당을 지어 줄 정도로 교육열이 대단하였다. 김구락은 전우의 학문과 사상을 충실 히 이어받았다. 시국관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교육을 통해 구국(救國)하라는 간재의 가르침을 잘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는 사상적으로 폭이 다소 넓어 불교의 승 려들과 교유를 Ⅵ하였으며, 유교와 불교의 만남을 모색하기도 했다. 또 예(禮)와 함 께 악(樂)을 중시하였다. 일생토록 풍류를 즐겨 적지 않은 시문을 남겼다. 본고는 아 직 조명이 안 된 유학자를 학계에 소개한다는 데 일차적 의의가 있다. 향후 학문과 사상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수학(受學)과 교유(交遊)
Ⅲ. 간재학의 계승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崔英成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