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제품 품질과 기업 혁신성 수준이 CSV 활동 동기 인식과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on CSV Activities Motives Perception and Corporate Attitude

강윤지, 김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on CSV motives and corporate attitude in CSV, as well as what effects such CSV motives perception has on corporate attitude. W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based on corporate capability level in the context CSV activities associated with health & beauty st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were likely to increase value-driven motives, stakeholder-driven motives, strategy-driven motives. Also, only product q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egoistic-driven motives. High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innovation were variables that made corporate attitudes perceived positively, and among the motives for CSV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value-driven motives and stakeholder-driven motives. Finally, value-driven motives and stakeholder-driven motives between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attitude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nd value-driven motives had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corporate innovation and corporate attitud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CSV 활동과 관련하여 제품 품질 수준과 기업 혁신성 수준이 CSV 활동 동기 인 식과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한편, CSV 활동 동기 인식이 기업 태도에 어 떠한 효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B 스토어의 CSV 활동을 중심으로 기 업 역량 고저 수준에 따른 온라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품질과 기업 혁신성은 가 치 추구 동기·이해관계자 동기·전략 추구 동기와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본위 동기에는 제품 품질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제품 품질과 기업 혁신성은 기업 태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요인이었으며, CSV 활동 동기 요인 중에서는 가치 추구 동 기와 이해관계자 동기가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품 품질과 기업 태도 사이 에는 가치 추구 동기와 이해관계자 동기가, 기업 혁신성과 기업 태도 사이에는 가치 추구 동기가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CSR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동기 요인들을 CSV에 적용 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업 역량 육성을 통한 CSV 실행이 중요하다는 전략 적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CSV와 기업 역량
2) CSV 활동 동기추론
3) 기업 역량과 CSV 동기추론
4) 동기추론과 기업 태도
3. 연구방법
1) 연구절차 및 참가자 특성
2) 실험처치물 구성
3) 변인의 측정
4. 연구결과
1) 실험 조작화 검증
2)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결과
4) 기업 역량 수준이 CSV 활동 동기 추론에 미치는 영향
5) CSV 활동 동기 추론이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6) CSV 활동 동기 추론의 매개효과 검증
5. 결론 및 논의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참고문헌
Appendix.
Abstract

저자정보

  • 강윤지 Yoon Ji Kang.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 김상훈 Sanghoon Kim.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