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스페인어의 ‘대명사-명사구’ 구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원문정보

Some Issues Related to the ‘Pronoun-Nominal Phrase’ Structure in Spanish

심상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three issues related to the so-called ‘pronounnominal phrase (PN)’ structure in Spanish. First, we try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so called ‘unagreement’ phenomenon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we argue that this phenomenon is deeply related to the pro-drop properties; we also discuss whether our analysis can be applied to other languages such as Korean, English and Italian. Second, based on the difference in morphological complexity we offer an analysis of why only 1st/2nd plural personal pronouns are allowed to appear in the PN structure, whereas 3rd plural personal pronouns and 1st/2nd/3rd singular personal pronouns are not allowed to appear in this structure; we claim that our analysi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omplexity can also explain why Spanish and Italian show a big difference regarding the PN structure; furthermore, we point out that Postal (1969)’s analysis faces a difficulty in explaining the PN structure like ‘nosotros los coreanos’ and then argue that this problem can also be solved by our analysis. Finally, from a minimalist perspective we discuss in more detail how personal pronouns and definite plural NPs combine to form the PN structure and how the 1st/2nd agreement is triggered on the verb. For this, we first point out that Hiraiwa (2017)’s analysis based on the labeling algorithm (Chomsky 2013, 2015) is not 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unagreement’ phenomenon and then suggest an alternative.

한국어

본 연구는 스페인어의 ‘대명사-명사구(pronoun-nominal phrase)’ 구조와 관련된 세 가지 이슈를 다룬다. 첫째, 한정적 복수 명사구가 주어로 기능할 때 동사는 복수 1,2인칭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불일치(unagreement)’ 또는 ‘1,2인칭 일치’ 현상을 통사적 관점에서 설 명하고 더 나아가 본고의 분석이 한국어, 영어, 이탈리아어의 ‘대명사-명사구’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해본다. 둘째, 복수 1,2인칭대명사만 ‘대명사-명사구’ 구조에 출현이 가능하고 복수 3인칭대명사와 단수 1,2,3인칭대명사는 출현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형태적 복잡성 차이에 입각하여 설명을 제시한다. 형태적 복잡성 차이에 입각한 분석은 ‘대명사-명사구’ 구조와 관련하 여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의 이유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영어에서 명사구를 보충어로 취하는 인칭대명사를 한정사로 분석하는 Postal(1969)의 분석은 {nosotros/vosotros} los coreanos처럼 복수 1,2인칭대명사와 정관사가 동시에 출현하는 사례를 설명하는데 있어 어려움에 직면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본고의 분석은 이러한 어려움까지도 해결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복수 1,2인칭대명사와 한정적 복수 명사구가 ‘대명사-명사구’ 구 조를 형성할 때 두 요소가 어떤 방식을 통해 결합하고 또 어떤 식으로 동사에게 복수 1,2인칭 일 치를 유발하는지를 최소주의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본고에서는 Chomsky(2013, 2015)의 표찰 알 고리즘(labeling algorithm)에 입각한 Hiraiwa(2017)의 분석을 소개한 다음 그의 분석은 스페인어의 ‘불일치’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한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불일치(unagreement) 현상
1. 스페인어
2. 한국어, 영어
3. 이탈리아어
III. 복수 3인칭대명사/단수 1,2,3인칭대명사가 ‘대명사-명사구’ 구조에 출현할 수 없는 이유
1. 형태적 복잡성 차이에 입각한 분석
2. 대안적 분석: 의미적 중복성에 입각한 분석
3.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의 차이에 대한 설명
IV. ‘대명사-명사구’ 구조 형성 방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상완 Sangwan Shim.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