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세기 대흥사(大興寺)의 선교경향(禪敎傾向)

원문정보

The tendency of the Joint Study of Zen and Non-zen Buddhism of Daeheungsa Temple in 19th Century

오경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eheungsa Temple has a remarkable status in establishing identity and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Imjin War. The Ch’ǒnghǒ Hyuchǒng laid the foundation for Buddhist revival, and the Pyunyang Unkee inherited the teachings of Cheonghe. The monks of Daeheungsa Temple and the nearby Mandeoksa Temple were disciples of Pyunyang and Soyo Taeneung. These established the identity of Joseon Buddhism, generation after generation and popularized the Joint Learning of Zen and Non-zen Buddhism. The so-called 12Buddhist Masters, 12Teaching Priests studied the buddhist Thoughts centered on seon practice(禪修行) and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and lectured on successors. They encouraged anyone and their successors to learn if there was a talented and virtuous teacher, even among other members of the Family Lineagy. Daeheungsa Temple became the Main Family of the Buddhist wor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enter of thought and faith. In the end, the revival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fforts of Pyunyang Unkee and his descendants.

한국어

대흥사는 임진왜란 이후부터 전개된 조선후기 불교의 중흥과 정체성 수립에 주목할 만한 위상을 지니고 있다. 청허 휴정은 불교중흥에 기초를 마련하였고, 편양 언기는 청허의 가르침을 계승하였다. 편양과 소요 태능의 후예인 대흥사와 인근 만덕사의 승려들은 세대를 이어가면서 임제법통을 확립하였고, 선우위의 선교겸수를 대중화시켰다. 이른바 12종사와 12강사는 선 수행과 화엄경을 중심으로 하는 교학을 연구하고 후학들에게 강의하였다. 비록 그들의 문중이 아니더라도 재주와 덕이 있는 스승이 있으면 누구라도 모셔와 후학들이 배우게끔 하였다. 대흥사가 조선후기 불교계의 종원이자 종통이 돌아 갈 수 있었던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이다. 폐허가 된 조선불교가 사상과 신앙을 비롯하여 그 정체성을 확립하고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편양 언기와 그의 후예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임진왜란 이후 대흥사의 사세(寺勢)와 편양 언기(鞭羊 彦機)
Ⅲ. 화엄학(華嚴學)의 융성
Ⅳ. 선 수행(禪 修行)의 확립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경후 Oh, Kyeong-Hwo.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