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노인의 생활만족도, 자기방임,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Life-satisfaction, Self-neglect,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안성아, 정은영, 공정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elf-negle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3 elderly persons who living in J city of G province. For data analysis, SPSS WIn 21.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real numbers, percentages, the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and to conduc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ir subjective well-be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r=.841, p<.001),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self-neglect (r=-.501, p<.001). As a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were life satisfaction (β =.787, p<.001), income source (β=-.114, p=.028),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71.3%.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social syste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생활만족도, 자기방임,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G도, J시에 거주하 는 노인 143명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생활만족도와 양의 상관 관계(r=.841, p<.001), 자기방임과는 음의 상관관계(r=-.501, p<.001)를 보였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심리적 행 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만족도(β=.787, p<.001)와 수입원(β=-.114, p=.02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71.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의 특성에 맞는 다 양한 사회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자기방임, 심리적 행복감의 정도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
4.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자기방임, 심리적 행복감간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Ⅳ.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성아 Ahn Seong Ah. 정회원,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부교수
  • 정은영 Jung Eun Young. 정회원,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공정현 Kong Jeong Hyeon. 정회원,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