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FL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한 대학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 연구

원문정보

The Efficacy of Online Lectures in University an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for EFL Learners

김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icacy of online lectures conducted by most universities in 2020 in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opinions regarding online lectures, thereby assessing the possible direction that future online lectures could take.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online lectur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lso, student satisfaction with online lectures was found to be quite high. Among the reasons students cited for favoring the online format were: (1) the fun presentation of class information; (2) the diversity of subjects covered; and (3) the ease of using the Internet. Among the improvements made for enhancing online lectures were technical enhancements (such as fixing attendance check authentication errors) and stabilizing the playback of lecture videos. By way of concluding, this study claims that professors who are familiar with giving lectures in person should come to recognize that online lectures are not simply another option, but are essential for the future. As such, the academic community must focus on developing online content as a way to further higher education’s development in meeting the academic demands of both the present and the future.

한국어

2020년 코로나 사태로 맞이하게 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추어 본 연구는 영어 독해 수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강의의 효율성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해 봄으로써 장차의 온라인 강의의 나아갈 방향 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1학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로 영어 독해 수업을 진행하 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강의는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의 온라인 강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수업 정보에 대한 재미, 주제의 다양성, 인터넷 사 용의 용이성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강의의 개선할 점으로는 출석체크 인증 오류나 강의 동영상의 불안정한 재생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이 제시되었다. 온라인 강의는 시공간의 제약 초월, 학습자 중심의 자유성 극대화, 자기 주도적 학 습, 개인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 대면 강의에 익숙한 교수자들은 온라인 강의가 선택 사항이 아닌 시대적 변화에 맞는 필수적인 과정임을 인지해야 하며 이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설계
1. 연구 기간, 연구 대상 및 연구 교재
2. 연구 절차
3. 연구 평가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1. A반과 B반의 1차와 2차 테스트 결과
2. 설문조사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혜정 Kim, Hye-Jeong. 정회원,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