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신입생들의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심리적 정서의 차이

원문정보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emo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lasticity of college freshmen in COVID-19

양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emo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lasticity of college freshmen in COVID-19.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April 6 to 13, 2020,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total of 220 copies of the survey data, excluding insufficient survey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lf-elasticity is below average, the psychological emotion caused by COVID-19 as well as the depression of new student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emotions such as anxiety, irritability, helplessness, anger, fear, confusion, and distrust. It was found to be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roles and cop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help students recover and maintain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mental health.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신입생들의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심리적 정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20년 4월 6일부터 13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충분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220부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이 평균미만인 경우가 평균이상인 경우에 비해 신입생들의 우울감 뿐 아니라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 정서인 불안, 초조, 답답함, 무기력, 분노, 두려움, 혼란, 불신 등 모든 정서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건강을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대학의 역할과 대처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Thi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자아탄력성
2. 자아탄력성, 우울, 심리적 정서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우울감,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 정서 및 자아탄력성 정도
3. 성별 및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정서의 차이
4. 대상자의 우울감,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 정서,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양혜진 Hye-Jin Yang. 정회원,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