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하얀 손’에 대한 원한과 박정희 체제의 젠더 정치 - 1970년대 황석영 소설의 남성성과 민중의 젠더화 -

원문정보

Resentment against “White Hands” and the Gender Politics of Park Chung-hee’s Regime : The Masculinity of Hwang Sok-yong’s Works in the 1970s

허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hyper-masculinit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the counter discourse against it were all centered around hegemonic masculinity, and posits that misogynist gender politics was used to cover this weak foundation. In the Korean realist literature of the 1970s, the tropes of male workers versus young and wealthy women, male workers versus poverty, and disgraced women, shows that realist literature genderizes people within strict parameters. Realist literature that resisted the Park regime makes male workers the foc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It is the male subject who obtains literary and historical citizenship. Women, on the other hand, are divided into corrupt women who abandon their hometowns and bourgeois women who live a life of luxury. These women’s "white hands" are both a target of resentment and a kind of deprivation: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women characters like Baekhwa and Miri cannot be the hero of the story. The response of writers like Hwang Sok-yong to the violent masculinity of Korean society was also based on masculinity and focused on the creation of a national literature and histor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masculinity. As a result, the position of female workers remains absent.

한국어

본고는 박정희 체제의 초남성적 통치성과 그에 대한 대항담론이 모두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약한 토대를 가리기 위해 민중을 젠더화하는 여성혐오를 사용했다는 것을 분석하고자 한다. 남성 노 동자 대 젊고 부유한 여성, 혹은 남성 노동자 대 가난으로 타락한 여성이라 는 리얼리즘 문학의 전형성은 리얼리즘 문학이 ‘민중’을 표상하는 지점을 보여준다. 박정희 체제에 저항하는 리얼리즘 문학은 남성 노동자를 초점화 자로 삼고 서사를 전개시킨다. 이 정전화 과정에서 문학사적 시민권을 획 득한 것은 남성 하위주체다. 반면 여성은 고향을 떠나 타락한 여성과 부르 주아 여성으로 양분된다. 이들의 ‘하얀 손’은 박정희 체제가 남성 주체에게 가하는 억압적 상황을 비추는 거울의 역할을 한다. 이는 백화나 미리와 같 은 여성들은 소설의 행위자가 될 수 없는 구조적 한계에서 기인한다. 한국사회의 폭력적 남성성에 대응하는 문학의 응전방식 역시 남성성을 바탕에 두고 있으며, 남성성의 재건을 통한 문학사의 창조에 초점을 맞춰왔던 것 이다. 그 결과 공백으로 남은 것은 여성 노동자의 자리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백화의 귀향과 젠더화된 이동
3. 미리의 유혹과 대상화된 자기인식
4. 오빠들의 도시와 여동생의 고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윤 Heo, Yoon.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