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서의 몸과 농경문화의 유기성 - 서정주 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Organicity between the Body as Heterotopia and Agrarian Culture in Seo Jeong-ju's Poetry

엄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rganicity between the body as heterotopia and agrarian culture in Seo Jeong-ju's poetry is analyzed in this paper to discover the most basic and universal desire that is dreamed of by humans. The “desire for a giant body” receives primary attention for making this argument clear. The incarnated giant body in myths and tales is the best example of a bodily utopia transcending the natural weakness and limitations of human beings. The urinary force of Esq. Yi's wife or the monstrous force of Hoo-Nyeo in Seo Jeong-ju's poetry illustrate a body as heterotopia transcending what Michel Foucault called “the imposed body.” The emergence of these forceful characters like giants in Seo Jeong-ju's poetry relates to the defense of healthy physicality as a requirement in agrarian culture. Another body as heterotopia in Seo Jeong-ju's poetry relates to an ecstasy of Eros. This body is a secret place pouring out or putting in its fire, blood, beast and loneliness. An external place meeting with this body is to be a maze symbolizing the “backwater of musky-mint.” As secret and erotic spaces within the agrarian place, these spaces become significations of “external spaces” differing from the laboring spaces of agriculture. The perfect combination of heterotopic bodies with external spaces receiving the desires of these bodies entirely is to be a real utopia that is universally dreamed of by humans.

한국어

본 논문은 서정주 시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로서 몸에 대한 두 가지 항목, 즉 ‘거대한 몸에 대한 염원’과 ‘에로스의 몸과 미로의 장소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인간이 꿈꾸는 가장 기초적이고 보편적인 욕망이 무엇인가 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논지 전개를 위해 일차적으로 주목했던 것은 ‘거대한 몸에 대한 염원’이라 할 수 있다. 신화와 설화에 의해 구현된 거인의 신체는 인간 존재가 지닌 근원적 허약성과 한계를 초월한 몸의 유 토피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이다. 서정주가 설화에서 차용한 시편들에 는 강력한 힘을 발현하는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이 또한 미셸 푸코가 말한 “강요된 몸”을 초과해 버리는 헤테로토피아로서의 몸이라 할 수 있다. 서 정주의 시에 등장하는 이 같은 거인의 힘을 가진 인물의 등장은 농경문화 가 요구하는 건강한 육체성의 옹호와 관련한다. 서정주의 시에 두드러지 게 등장하는 또 하나의 헤테로토피아로서 몸은 에로스적 황홀과 관련된다. 에로스적 황홀에 빠진 몸은 그 자체로 헤테로토피아의 몸이라 할 수 있다. 서정주 시에 나타난 에로스의 황홀에 도취된 몸은 불과 피와 짐승 과 호젓함을 쏟아내거나 담아내는 비밀스러운 장소이다. 이러한 몸이 만 나는 외부의 장소는 ‘사향 박하의 뒤안길’로 상징되는 ‘미로’라 할 수 있다. 이 공간들은 농경의 장소에 놓여 있는 은밀한 성애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경작을 위주로 하는 노동의 공간과는 차이를 갖는 ‘별도의 공간’으로 의미 화된다. 이와 같은 헤테로토피아의 몸과 그 몸의 욕구를 고스란히 받아내는 외부 장소와의 완전한 결합은 인간 일반이 보편적으로 꿈꾸는 현실의 유토피아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몸은 ‘장소(topos)’다”라는 정의의 낯섦과 진의
3. 거대한 몸에 대한 염원
4. 에로스의 몸과 미로의 장소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경희 Eum, Kyoung-hee.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