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毅齋許百鍊南宗畵의 예술심미 고찰

원문정보

The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 on the Aesthetic of EuiJae Huh BaekRyun’ Namjonghwa

의재허백련남종화의 예술심미 고찰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uiJae Hu BaekRyun is a symbol of Honam Namjonghwa and is respected as a teacher of Honam culture. He is from JinDo and is a relative of Sochi Heo Ryun and a disciple of Misan Heo Hyeong. The spirit of traditional Namjongghwa and the dignity of painting faithful to its technique have been obtained by themselves, and have made it his own. EuiJae organized a 'Yeonjinhoe' in Gwangju to raise his students. After liberation, a house was built under Mudeungsan Mountain. And showed another aspect as a social educator who emphasized and practiced national spirit while being a tea ceremony man. He excelled in Chinese poetry and painting theory, and expressed a unique field in calligraphy. especially worked as an artist good at poetry, caligraphy, and painting. EuiJae showed exceptional talent, especially in landscape painting. His tendency to paint was to follow Ye Chan's technique of drawing with a dry brush, placing importance on the energy of learning, and constantly trying new experiments with the technique of gisaeng. The world of EuiJae'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signature using the trend of painting or the change of perspective pursued, the era of EuiJae, the era of EuiJaeSanin, and the era of EuiDoin, which had a tendency of independent painting. EuiJae's contribution surpassed the artistic historical assessment that he had formed a big stem for the authentic Namjongghwa of Korean painting culture, which was part of Oriental painting. And recognizing that he was a fundamental teacher connecting modern times through the actual scenery based on NamDohwa's universal spiri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ve succession of emotions, he should inherit his passion for artistic spirit and tradition and experimental spirit.

한국어

호남 남종화의 상징적 거목이자 호남문화의 스승으로 추앙받는 의재 허백련(1891~1977)은 진도출신으로 소 치 허련의 방계이며, 미산 허형의 제자이다. 전통 남종화 정신과 그 기법에 충실한 畫格을 自得·自化하였다. 毅齋 는 광주에서 ‘鍊眞會’를 발족시켜 후진양성을 도모하였고, 해방 후 무등산 아래 산장을 짓고 다도인으로서, 그리 고 민족정신을 강조하고 실천했던 사회교육자로서의 또 다른 면모도 보였다. 그는 한시와 화론에 조예가 깊었고, 서예에 있어서 독특한 심미경지를 구현하는 등 詩·書·畵三絶의 전형적 서화가였다. 毅齋는 특히 산수화에서 탁 월한 재능을 보였다. 그의 화풍은 倪黃風의 渴筆로써 기존 화법을 준수하면서도 文氣를 중요시 여겼으며, 脫盡習 氣하여 새로운 실험정신으로 끊임없이 도전했다. 毅齋의 작품세계는 화풍이나 추구하는 관점의 변화를 작품에 사 용한 落款을 기준으로, 古法과 寫意簡遠의 숙련기였던‘毅齋’시대, 實景과 南畵의 융합 화풍으로 절정기를 보였던 ‘毅齋散人’시대, 淸談平安한 神品境地구현으로 독자적 화풍을 이룬‘毅道人’시대 등 총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毅齋의 공헌은 동양회화의 지류인 한국회화문화의 정통 남종화에 대한 한 축을 이어왔다는 미술사적인 평 가를 넘어 남도화의 보편적 정신과 지역적 특성을 바탕한 실경과 정서를 살린 창의적 계승을 통하여 현대를 잇 는 祖宗이었음을 인식하고, 그의 예술정신과 전통에 대한 열정과 실험정신을 계승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毅齋의 生涯와 南宗畵淵源
Ⅲ. 毅齋南宗畵의 시기별 미학적 특징
1. 毅齋: 古法과 寫意簡遠의 숙련
2. 毅齋散人: 實景과 南宗畵의 융합 화풍
3. 毅道人 : 淸談平安한 神品境地 구현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young. 학술이사,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문화재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