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지타 유코쿠(藤田幽谷)의 정명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ujita Yukoku’s Seimeiron

김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ujita Yukoku (藤田幽谷) is considered a person who opened the late Mito-Gaku (水戶 學). Seimeiron (正名論) is a work he wrote when he was 18 years old, and the loyalism stands out.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loyalism of later 'Fujita Toko (藤田東湖)' and 'Aizawa Yasushi (会沢安)'. Fujita Yukoku's Seimeiron was created by The Compilation of Japanese History (大日本史) of Tokugawa Mitsukuni (徳川光圀) and the Kansei reform. Unlike the existing Ohkimi theory (大君論), through the word 'regent,' no matter how powerful the shogunate was, he was a servant and the Emperor in Japan was the monarch.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Seimeiron is the loyalism. No matter how powerful the real authority is, the Emperor in Japan is the monarch and the superior. Fujita Yukoku insisted that such a relationship would stabilize the state. And this Emperor's authority is established through the memorial service. The Emperor reveals that he is the king of Japan by performing memorial service to the royal and imperial tablets. The Emperor's authority is viewed absolutely and invariably, The emphasis on the emperor's authority through the memorial service has had a lot of influence on Japanese theorists. It seems even related to modern Japanese politics.

한국어

후지타 유코쿠(藤田幽谷)는 일본 미토학(水戶學) 가운데 후기 미토학을 연 인물로 평가된다. 「정명론(正名論)」은 그가 18세 때 지은 저작으로 존왕사상(尊王思想)이 두드러진다. 이는 후대의 후지타 도코(藤田東湖)와 아이자와 야스시(会沢安)의 존 왕사상과 연관되어 보인다. 후지타 유코쿠의 「정명론」은 도쿠가와 미쓰쿠니(徳川光圀)의 대일본사(大日本 史) 편찬과 칸세이의 개혁으로 주자학(朱子學)이 막부의 정학(正學)이 되어 천황과 막부의 관계 논의라는 환경 속에서, 기존의 대군론(大君論)에 선을 긋고 '섭정(攝政)' 이란 말을 통해 막부가 아무리 실권이 강력해도 신하이고 천황이 군주임을 밝혔다. 「정명론」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바로 존왕사상이다. 아무리 강력한 실권자 가 있어도 천황이 임금이고 윗사람이다. 후지타 유코쿠는 이런 상하관계가 서야 천 하가 안정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런 천황의 권위는 제사를 통해 확립된다. 천황 이 천(天)과 황실의 위패에 제사를 지냄으로써 천황이 일본의 왕임을 드러낸다. 천황의 권위를 절대적이며 불변적으로 보고, 제사를 통해 천황의 권위를 강조하는 점은 후대 일본 사상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고, 심지어 현대 일본 정치와도 연관 이 있어 보인다. 이러한 그의 「정명론」은 유가(儒家)에서 처음으로 정명(正名)을 주 장했던 공자의 사상과 차이점이 존재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정명론」의 형성배경
1) 『대일본사』 편찬과 3대 특필
2) 칸세이의 개혁과 막부의 정통성
3. 「정명론」의 내용 및 특징
1) 불변적(不變的) 지위의 천황
2) 섭정의 역사성과 정당성
3) 황실 제사를 통한 천황의 권위 확립
4. 공자 사상과의 비교
1) 임금의 절대성
2) 섭정에 대한 관점
3) 제사에 대한 관점
5. 결론 -「정명론」의 영향과 이후의 전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훈 Kim, Ji-Hoon.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