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맹자』 <우산지목장>의 ‘심(心)’에 대한 연구 -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Xin (心, Heart-mind)’ in Chapter of “Niushanzhimu (牛山之木, Trees of the Ox Hill)” of Mengzi - Focusing on Mengzi Jizhu Daquan (孟子集註大全) -

신예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encius’s thought of the heart-mind by analyzing the Mengzi (孟子) 6A8, hereafter the chapter of Niushanzhimu (牛山之木, the Trees of the Ox Hill)>,” and the commentary by Zhuzi and other commentaries in Mengzi Jizhu Daquan (孟子集註大全, the Great Compendium of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 The core of the Zhuzi interpretation that penetrates the entire chapter of Niushanzhimu is ‘renyizhixin (仁義之心, the heart-mind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And ‘liangxin (良心, proper goodness of mind),’ ‘wuyu (物欲, desire for material wealth),’ ‘yeqi (夜氣, the restorative influence of the night),’ ‘pingdanzhiqi (平旦之氣, the calm air of the morning),’ ‘yangqi (養氣, an incessant development of the good inside the heart),’ ‘caocun (操存, preserving and holding one’s heart-mind)’ and ‘qiufangxin (求放心, seeking for the lost mind)’ are shown as important issues. Zhuzi defined renyizhixin and liangxin as “benranzhishanxin (本然之善心, the natural good mind),” of which this paper was mainly composed. First,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are wuyu (物欲, greed) and liyu (利欲, desire for profit). All humans have them, so that they cannot be eliminated, but they can be controlled through moderation. Second, the lack of yeqi is a key factor in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Zhuzi highlighted yeqi as the best energy, as the result of yeqi’s cultivation and extinction determines whether benranzhishanxin is preserved or not. Based on pingdanzhiqi, the way of recovering benranzhishanxin can be explained. pingdanzhiqi is also linked to yeqi. The key point is that if a person is not contacted through night rest, his/her energy gradually clears up and pingdanzhiqi recovers, so benranzhishanxin is recovered. The second is yangqi and ‘chong renyizhiqi (充仁義之氣, filling the energy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Renyizhiqi is a unique concept that has not been noticed in academia so far, and it is not easy to identify. Howeve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energy, which makes up renyizhixin, is renyizhiqi, given the fact that the ‘xin (心, mind)’ consists of ‘li (理, principle)’ and ‘qi (氣, energy).’ This is the moral qi whcin all human beings share. Zhuzi believed that humans naturally have ‘haoranzhiqi (浩然之氣),’ suggesting that cultivating haoranzhiqi well and restoring benranzhishanxin are closely linked. The third is the way to preserve the mind, namely, caocun and qiufangxin. It can be seen what the meaning of caocun is in two passages: “If caught, preserved; if left, lost.” Zhuzi shared a common ground with Mencius’s views on qiufangxin, but has different views on some of the contents. He made it clear that the moment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of fangxin leads directly to caocun. Based on the chapter of Niushanzhimu, it can be inferred that not only the theory of “good nature” but also that of “good heart” is possible to be drawn from benranzhishanxin.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맹자』, 「고자 상」 ‘우산지목장(牛山之木章)’과 이에 대한 주자의 주석 및 『맹자집주대전』에 편집된 소주(小註)를 분석하여 맹자의 ‘심(心)’에 대하 여 고찰한 것이다. ‘우산지목장’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인의지심(仁義之心)’ 이다. 그리고 양심ㆍ물욕ㆍ야기ㆍ평단지기ㆍ양기ㆍ조존과 구방심 등이 중요한 문제로 나타 나있다. 주자는 인의지심과 양심을 ‘본연의 선한 마음[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으로 규정하였는데, 본고는 바로 이 ‘본연지선심’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고찰한 결과 본연지선심을 상실한 요인은 첫째, 물욕과 이욕이다. 이것은 모든 인 간에게 생래적인 것으로서 없앨 수는 없으나, 절제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야기(夜氣)의 부족이 본연지선심 상실의 핵심적 요인이다. 주자는 야기를 최상의 기 로 부각시켰는데, 야기의 함양과 소멸의 결과에 따라 본연지선심의 보존여부가 결 정되기 때문이다.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공부 방법은 평단지기를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단지 기는 야기와 연계된다. 그 핵심은 야간에 휴식을 통하여 대상과 접촉하지 않으면, 그 기운이 점차 맑아져서 평단지기가 회복이 되므로, 본연지선심도 회복된다. 둘째, 양 기와 ‘충’인의지기(‘充’仁義之氣)이다. 인의지기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 았던 독특한 개념으로, 규명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심(心)’은 리(理)와 기(氣)로 이 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의지심을 구성하는 기는 바로 인의지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것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도덕적 기(氣)이다. 주자는 인간이 생래적으 로 호연지기를 갖고 있다고 보고, 호연지기를 잘 배양하는 것과 본연지선심을 회복 하는 것이 긴밀하게 연계됨을 시사하였다. 셋째, 마음을 보존하는 방법, 즉 조존(操存)과 구방심이다. 조존의 대의는 ‘잡으면 보존되고 놓으면 잃는다’는 두 구절에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자는 구방심에 대해 맹자의 견해에 공통점을 보이면서도 일 부 내용에 대해 견해를 달리한다. 그는 방심을 한 사실에 대해 자각(自覺)․자성(自省) 하는 순간이 바로 조존으로 연결된다는 것으로 정립시켰다. ‘우산지목장’을 근거로 볼 때, 인의지심과 양심, 즉 ‘본연지선심’에서 본성이 선(善) 하다는 성선설뿐만 아니라 ‘마음이 선하다’는 ‘심선설(心善說)’이 가능하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인의지심(仁義之心)과 양심(良心): 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
1) 인의지심(仁義之心)
2) 양심(良心)
3. 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의 상실
1) 물욕(物欲)과 이욕(利欲)
2) 야기(夜氣)의 부족(不足)
4. 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의 회복방법
1) 평단지기(平旦之氣)
2) 양기(養氣)와 ‘충’인의지기(‘充’仁義之氣)
3) 조존(操存)과 구방심(求放心)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예진 申例臻.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