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식인(食人)의 윤리와 정치 - 면(麵)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thics and Politics of Cannibalism Presented in Modern Female Poems - Focus on Noodles

김순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ethics and politics of cannibalism presented in modern female poems were examined by relating to noodles. To examine how the noodles are implicated in poems and the meaning that poets try to say through eating behaviors, Bourdieu and Deleuze’s discussions were referenced. Bourdieu said food is a mechanism that creates and recreates the sexism and Deleuze suggested rhizome or becoming- that would reinforce physical literacy to get out of this dominant system. Rhizome is a method of dissolving hierarchical aggregate and drawing the line of flight of molecular creation, and it is presented in female poems by relating to the noodles. In some female poems, food is materialized into jjajangmyeon (black bean sauce noodles), fried noodles, kalguksu (knife-cut noodles) and noodles, and eating the food is performed when consciousness is broken. Therefore, it may result in failure (CHOI, J.R), meeting strangers (HEO, S.K), arriving at an ambiguous state (JEONG, G.B), or result in spilling the food (LEE, G.H). During the process, a landscape of strange road-noodle is unfolded where bodies are mixed with past and present, myth and mundane world, and life and death, where ego is mixed with others, and where countless others are co-existed. Poets try to commune with others in that boundary. At this moment, road-noodle functions as a type of the line of flight to run away from the oppressive reality, and refuses colonization of malesㆍcapital while simultaneously shows poets’ ethical spirit of resistance who seek to share and communicate. On the other hand, an opposition between eating and being eaten sometimes releases destructive energy in poems. Preference of food that is materialized into ramen, noodle strips, spaghetti is mixed with other different series to function to shake the split line of binary opposition violently. That is the branch where history and civilization meet (SHIN, H.J), chunk of dough (KIM, S.W), red motorway (KIM H.S), face of others (LEE W). Eating by these cannibalistic subjects is different from eating by masculine subjects that make others to return to the coordinate of identity, it stays in a gap between ego and others, showing a movement that opposes subjectivation. As this movement is a poetic energy that creates new body and birth of sense, it shows political esthetics that females, as a minority who causes a rift in the senses of group, write poems. In female poems, the noodles response to the capital, nation, reason, and logic of rationality that capture individual lives into a fixed circuit while simultaneously function as a type of the line of flight to escape from hierarchical authority. It has significances in that it shows an opportunity of birth of new life after getting out of the major and dominant flow while simultaneously looks back the eating-being eaten method that preserves lives.

한국어

이 글은 여성시에 나타난 식인의 윤리와 정치성을 면(麵)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시 에서 면이 어떤 의미를 함의하는지, 먹기의 행위를 통해 시인들이 말하려는 의미가 무엇 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르디외와 들뢰즈의 논의를 참고하였다. 부르디외는 음식이 성차별적 구조를 생산, 재생산하는 기제임을 말하고 있으며, 들뢰즈는 이 지배적 시스템 으로부터 벗어나 신체 역량을 강화할 방식을 리좀, 또는 –되기로 제안하고 있다. 리좀은 위계적 집합체를 해체하고 분자적 창조의 탈주선을 그려가는 방법으로서, 여성시에서 는 면(麵)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일부 여성시에서 음식은 자장면, 볶은 국수, 칼국수, 국수 등으로 구체화되며, 이 음식 먹기는 의식이 붕괴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실패하거나(최정례), 낯선 타자를 대 면하게 되거나(허수경), 모호한 상태에 이르거나(정끝별), 음식을 흘려버리게 된다(이근 화). 이 과정에서 과거와 현재, 신화 세속, 삶과 죽음이 몸을 섞고, 자아와 타자가 뒤섞이 며, 무수한 타자들이 공존하는 낯선 길-면(麵)의 풍경이 펼쳐진다. 시인들은 이 길-면에 머무르며 타자와 교감하려고 한다. 이때 길-면은 억압적 현실 공간으로부터 출분하기 위 한 일종의 탈주선으로 기능하며, 남성 ․자본의 식민화를 거부하는 동시에 나눔과 소통 을 추구하는 시인들의 윤리적 저항의식을 보여준다. 한편 시에서 먹기-먹힘의 대립은 파괴적인 에너지로 발산되기도 한다. 라면, 면발, 스 파게티 등으로 구체화되는 음식물의 기호는 이질적 계열의 다른 것과 뒤섞여 이항대립 적 분할선을 뒤흔드는 기능을 한다. 그것은 역사와 문명이 만나는 지점(신혜정), 덩어리 반죽(김선우), 붉은 자동차길(김혜순), 타자의 얼굴(이원)이다. 이 식인-주체들의 먹기는 타자를 동일성의 좌표로 귀환시키는 남성적 주체의 먹기와 달리, 자아와 타자 사이의 간 극에 머무름으로써 주체화에 대항하는 운동성을 보여준다. 이 운동은 새로운 신체, 감각 탄생을 만드는 시적 에너지로서, 집단의 감각에 균열을 일으키는 소수자로서의 여성의 시 쓰기라는 정치적 미학을 보여준다. 여성시에서 면은 개체의 삶을 고정된 회로 속으로 포획하는 자본, 국가, 이성, 합리성 의 논리에 대응하는 동시에 그 권력의 지배를 벗어나는 일종의 탈주로로 기능하고 있다. 이는 다수적이고 지배적 흐름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명 탄생의 계기를 보여주는 동시에, 생명을 보존하는 먹기 / 먹힘의 방식을 다시금 되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음식의 사회 정치적 의미와 윤리
Ⅲ. 시에 나타난 식인의 윤리와 정치
1. 식민화된 신체에 대한 윤리적 저항
2. 먹기-먹힘의 정치성과 새로운 시간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아 Kim Soona. 동서대학교 교양대학 초빙교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