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전라도 불교의 동향과 종단설립 운동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end of Modern Jeolla-do Buddhist Community and its Influence on the Mov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Order

김성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d the educational and missionary activities and various statistical data about major head temples(Bonsans, 本山) in the Jeolla province during the modern era, and studied how they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Order(宗團). During the colonial period, Buddhist temples were organized into 31 Bonsans under the Japanese temple ordinance(寺刹令). Among them were five bonsans in Jeonnam and two in Jeonbuk of the Jeolla province. The main project of the Joseon Buddhist Foundation(JBF, 財團法人 朝鮮佛敎中央敎務院), established in the 1920s, was to maintain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temples. The support ratio of seven bonsans in the Jeolla province was 16.3 percent of the total. This ratio was lower than that of the Bonsans in the Gyeongsang province, but it was the second-highest in financial support for the JBF, and that was exactly what showed in the status of the Jeolla province Buddhism. In addition, the data from Jeolla province Buddhism, such as statistical figures of temples, monks, and mission offices, were about 20% of the total Buddhist community. In the late 1930s, the Jeonnam Buddhism Association(JBA, 全南5本山聯合會) was formed, which energized the educational and missionary activities in the province. In particular, the JBA established a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Order in cooperation with Gyeongsang province Bonsans. And their plan eventual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ogye Order(曹 溪宗) in 1941. The Jeolla province Buddhism has an important meaning in modern Buddhist history in that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Imjejong Movement(臨濟宗運動) in the early 1910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Order in the 1930s.

한국어

이 글은 근대 전라도 지역 본산들을 중심으로 교육·포교 활동 및 각종 현황을 살펴보고, 불교계의 총본산건설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 연구이다. 식민지기 불교는 사찰령의 통제 아래 전국 사찰이 31개 본산으로 재편되었다. 이 중 전라도는 전북에 2개 사찰, 전남에 5개 사찰이 본산으로 지정되었다. 1920년대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 교무원이 설립되고 시행된 불교계 중앙 사업은 각 본산의 분담금으로 유지되었는데, 전 라도 7개 본산의 분담 비율은 전체의 16.3% 수준이었다. 이것은 절반 이상의 분담금을 냈던 경상도 8개 본산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두 번째로 많은 경제적 지원을 했다는 점에 서 교단 내 전라도 본산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전라도 불교의 교단 내 출자금, 사찰· 승려·포교당 등의 수치는 대체로 전체 불교의 20% 안팎의 비율을 보였던 것으로 집계 된다. 1930년대 후반에는 전남5본산연합회가 결성되면서 도내 교육·포교 활동에 활력을 불어 넣었다. 특히 연합회는 경남 3본산 및 경북 5본산과의 협력을 통해, 교단 내 통제기 관으로서 총본산의 건설을 구체화 시켰다. 그리고 이들 연합회의 노력은 결국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이 출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전라도 불교는 1910년대 초반 조선불교 의 자주성을 표방하고 일어났던 임제종운동과 1930년대 종단 건설을 위한 초석을 놓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는 점에서 근대불교사적 의미를 평가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불교 교단의 재편과 전라도의 본말사 현황
Ⅲ. 전라도 불교의 동향과 교육·포교 활동
Ⅳ. 전남5본산연합회의 결성과 총본산건설운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연 Kim, Seong-Yeon.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