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백련결사의 화엄사상 포섭의 사상적 연원에 대한 검토 - 보현도량의 「묘법연화경요해」 수용과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the Ideological Origins in the Inclusion of the Hwaeom Thought into the Baekryeon Association - With Reference to the Bohyeon Doryang’s Ideological Background in its Acceptance of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

석길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the Baekryeonsa Bohyeon Doryang’s acceptance of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is not only due to its political intention of establish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then ruler Choi Woo, but also due to the internal ideological stream of the Baekryeonsa to accept it. Based on this presuppos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the Order of Cheontaejong before Yose (1163-1245) and the issue of Yose’s lineage, examines the Baekryeonsa’s ideological intention in its acceptance of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by Jiehuan (戒環),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ryeon Association and the Order of Cheontaejong in order to identify the Baekryeonsa’s identity.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n this article, the writer found that the spirit of association in the founding of Baekryeonsa by Yose with the lineage of masters and disciples according to the proper canon of the Order of Cheontaejong, following the Mountain Sect (Shan-chia-p’ai) as the norm, originated from the movement of the whole Cheontaejong families to return to their fundamentals. Uicheon, the Seungtong, or the president of the Order of Hwaeomjong, founded the Order of Cheontaejong, assigning it to the Seon (Ch’an) school, although it belonged to the Doctrinal school in Chinese Buddhism, also assigning Buddhist monks and temples from the Seon school to the Order of Cheontaejong. In this process, it can be understood that he pursued the integration of the Buddhist world with the unity between the Doctrinal school and the Seon school by establishing the Order of Hwaeomjong as the representative doctrinal school and the Order of Cheontaejong as the representative Seon school. In conclusion, Yose and Baekryeonsa’s movement to return to their fundamentals was a movement to overcome the impairment of the purity of the northern Song dynasty’s Mountain Sect ideology of the Cheontaejong, which had been caused by its forced coalition with Seon schools, including the Order of Fayan (法眼宗) in the process of Uicheon’s creating the Order of Cheontaejong. In short, Baekryeonsa’s movement was a movement to restore its purity based on the Cheontae ideology of the Northern Song dynasty’s Mountain Sect within the Cheontaejong of Goryeo dynasty. Therefore, the early figures of the Baengryeonsa Association seemed to have been negative toward the five-literary school system, while being humanly and ideologically close to the Order of Hwaeomjong. If we accept this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establishment of Goryeo dynasty’s Order of Cheontaejong by Uichoeon, the president of the Order of Hwaeomjong, which is to become the foundation of the Baekryeonsa Association, we might think that its ideological base for accommodating the Concise Understanding of Lotus Sutra in the Bohyeon Doryang had been prepared from the beginning. Thus, we can naturally understand that the Baekryeon Association was not negative toward embracing the Hwaeom thought or the Hwaeom faith until the end of Goryeo dynasty or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한국어

논자는 백련사 보현도량의 「계환해」 수용이 당시의 집권자인 최우와 백련사 간의 관계설정에 대한 정치적인 의도가 포함된 것이기도 하지만, 백련사 내부적으로도 「계환 해」를 수용할 수 있는 저변의 흐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입각하여 요세 이전의 천태종의 흐름과 요세의 사승 문제를 검토하고, 백련사의 「계환해」 수용의 사상적 의도를 검토하였으며, 백련결사와 천태종의 관계성을 검토하여 백련사의 정체성 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검토 결과, 논자는 요세에 의한 백련사 창사와 천태적전에 의한 사자상승과 산가파를 규범으로 삼는 결사정신은 범 천태종 계열의 반본(反本)운동이었다고 파 악하였다. 화엄종의 승통이었던 의천은 천태종을 창종하면서 중국불교에서는 교종이었 던 천태종을 선종(禪宗)에 배속하였고, 선종 출신 승려들과 선종의 사원을 천태종에 배 속시켰다. 이 과정에서 교종의 화엄종과 선종의 천태종을 선교양종의 대표 종단으로 삼 아서 교선일치와 불교계 통합을 추구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요세와 백련사의 반본(反本)운동은 의천의 천태종 창종 과정에서 억지로 통합된 법안종 계열을 포함한 선종과의 융합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 북송(北宋) 산가파 천태사상의 순수성 훼손 을 극복하려는 운동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곧 백련사의 반본(反本)운동은 고려 천태 종 내부의 북송 산가파 천태사상을 근본으로 한 순수성 회복 운동이었다. 따라서 백련사 초기 인물들은 5문학도 계열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던 반면에, 화엄종과는 인적으로도 사상적으로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관점을 수긍한다면, 백련결사의 근원이 되는 고려 천태종이 화엄종의 승통(僧 統)이었던 의천에 의해 개창되었다는 점에서, 백련사는 초기부터 보현도량에 「계환해」 를 수용할 수 있는 사상적 저변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보면 백련 결사가 여말선초에 이르는 시기까지 화엄사상 혹은 화엄신앙을 포섭하는데 부정적이지 않았던 점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요세의 사승문제에 대한 견해와 비명 해석의 입장으로부터
Ⅲ. 보현도량의 『묘법연화경요해』 수용과 의미
Ⅳ. 결어(結語): 백련결사와 의천 천태종의 관계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석길암 Seok, Gil-Am.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