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康津 白蓮社 관련 조선시대 기록자료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Records of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during Joseon Dynasty

강진 백련사 관련 조선시대 기록자료 연구

남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Baekryeonsa Temple in Gangjin,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ly explored the records relevant to Hyoryeongdaegun,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Bulbokjang(佛腹藏) and many other topics in a chronological order. From a historical viewpoint, it is known that Baekryeonsa Temple was named after Baekryeongyeulsa(白蓮結社) during the Goryeo Dynasty. Another name for the temple was Mandeuksa(萬德社) which originated from Mandeuksan(萬德山) where the temple was located. During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the name of the temple was reaffirmed as Mandeuksa(晩德寺) by the Confucian scholar Song Si-Yeol. This study analyzed the reconstruction records of the Baeknyeonsa Templ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 topic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this field of study yet. Moreover, it acknowledged “Mandeuksasiseungmoon (萬德寺施僧文)”, a land document related to Prince Hyoryeong, and the records of the collection of Daejanggyeong from Haeinsa Templ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addition, it recognized the re-construction record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was closely linked to the newly identified records of the Samsaebul in 1641. Along with the recent discovery, there is another Samsaebul’s bulbokjang documents, which were moved from Baekryeon Temple to Okcheonsa Temple in Wando. They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in 1678 with the Amitabha Buddha records included. Other records of Samsaebul were known to have been enshrined in the Daeungjeon Hall after the fire in 1760. The following temple of Samsaebul is suggested to have been built around 1762. Consequently, there are total three different Samsaebul records from 1641, 1678, and 1760 as of now.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현존 기록자료 중에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시 기별로 孝寧大君 관련기록, 重創, 佛腹藏 등의 기록들에 대하여 서지적인 관점에서 살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자료룰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조선 전기인 세종년간에 行乎에 의하여 중창되었고 孝寧大君의 지원을 받았으며 그 와 관련한 인근 지역의 토지제공 문서인 ‘萬德社施僧文’와 구한말의 반환하는 문서 등을 살펴보았다. 또 백련사는 조선 세조 때 海印寺 大藏經을 인출하여 전국의 주요 사찰에 보관시킬 때의 중요한 사찰 중의 한 곳이었다. 중창과 관련된 기록으로는 고려 때 왜구 침입으로 훼손되었던 것을 조선 세종때 行乎 에 의하여 중창하었고 이후 休靜의 중창을 위한 모연문과 翠微守初의 ‘萬景樓勸化䟽’ 등에서 지속적으로 중수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17-18세기에는 趙宗著의 ‘白蓮寺碑文(1681)’과 李毅敬의 ‘康津萬德山白蓮寺重修記(1765)’ ‘萬德山白蓮寺大法 堂重修記(1765)’ 등 사찰의 중수에 관련된 기록과 그 과정에서 참여한 인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확인된 佛腹藏 관련 문서인 1641년에 조성된 三世佛 관련문서와 기존에 알려 진 1678년의 조성의 阿彌陀三尊佛 중 觀音菩薩腹藏 發願文 등을 1760년의 화재후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대웅전 현존의 불상과의 관련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白蓮社의 명칭과 역사지리적 배경
Ⅲ. 조선 전기 백련사 관련 기록자료
Ⅳ. 임진왜란 전후의 重創 기록
Ⅴ. 1641년 三世佛 腹藏文書
Ⅵ. 목포 達聖寺 阿彌陀三尊佛 중 觀音菩薩腹藏 發願文(1678년, 1958년)
Ⅶ. 현재의 백련사 대웅전에 모셔진 본존 三世佛像
Ⅷ.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권희 Nam, Kwon-Hee.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