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ct on Korean Dual system took effect on August 28, 2020.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ual System compared to German, Swiss and French apprenticeship are as follows: ① Recognizing trainees as employee status and paying minimum wage regardless of their productivity ② Training expenses are subsidized from Employment Insurance Fund ③ Maximum dual contract period is 2 years, and when dual students pass external evaluation, employers are obliged to hire them as regular workers ④ Issuance of Dual qualifications different from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⑤ Vulnerable social partnership in the operation of the system. The German-Swiss apprenticeship model is based on long tradition of guild system, collaborative labor-management culture, high union density and early decision of career paths. As Korea has totally different circumstances with no tradition of dual system, it seems almost impossible to emulate such a model. Therefore, realistic goals would be to expand dual training for technical high schools and colleges,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ual qualifications in the labor marke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ual system, it is inevitable to build an industry-centered ecosystem more vigorously, increase the re-engagement of companies and promote participation of larger companies.
한국어
2019년 8월 일학습병행법이 통과되어 2020년 8월 28일 시행되었다. 일학습병행은 2013년 11월 시 범사업 이후 2019년까지 학습기업 15천여개소, 참여자수 9만여명에 달하였고, 이제 법 시행과 일학습병 행 자격 발급에 따라 일학습병행 2.0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독일ㆍ스위스ㆍ프랑스와 비교한 우리나라 일학습병행(도제훈련)의 특징을 보면 ① 훈련생을 근로자로 인정 ② 생산성에 관계없이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 ② 훈련비는 사업주 단독으로 부담한 고용안정ㆍ능력개발사업 기금(고용보험)에서 조달 ③ 최대 훈 련계약기간은 주요국의 3~4년보다 짧은 2년이며, 외부평가 합격시 무기계약직으로 계속고용의무 발생 ④ 국가기술자격과 별개의 일학습병행자격 발급 ⑤ 제도 운영 관련 취약한 사회적 파트너십 등이다. 독 일․스위스 도제훈련 모델은 오랜 길드적 전통, 협력적 노사문화와 높은 노조 조직률, 초등학교 졸업 단 계에서의 조기 진로결정 등의 결과물로서 다른 나라에 이식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원화 제도의 전통이 전무하고 토양이 상이한 우리로서는 특성화고ㆍ전문대를 대상으로 한 일학습병행 확산과 일학습병행자격의 통용성을 높여나가는 것이 현실적인 목표로 보인다. 일학습병행은 과거 7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향후 지속가능한 일학습병행을 위해서는 산업계 중심의 생태계 조기 구축, 기업들의 재 참여율 제고와 대기업들의 참여 확대가 과제이다. 그리고 최대 도제훈련기간을 2년으로 제한한 것에 대 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본고의 연구방법과 분석틀
1. 연구방법
2. 본고의 분석틀
Ⅲ. 우리나라 일학습병행 제도 도입과 실시 현황
1. 일학습병행의 연혁과 법 제정 경과
2. 일학습병행 실시 현황
IV. 독일ㆍ스위스ㆍ프랑스와 비교한 우리나라 일학습병행의 주요 내용과 특징
1. 도제훈련계약 및 참여자의 신분
2. 도제훈련생에 대한 금전 지급
3. 재원
4. 도제훈련생의 보호
5. 도제훈련 참여자에 대한 평가 및 자격의 발급
6. 도제훈련 관련 사회적 파트너십
V. 시사점 및 제언
1. 시사점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고용노동부. (2013).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 도입계획, 경제장관회의 안건, 2013.9.
- 2나영돈.(2013).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의 소개 및 정책 방향. The HRD Review, 16(6), 114-118.
- 3민주노총, 전교조. (2019). 일학습병행제법의 문제점과 대안, 국회 토론회 자료집
- 4박종성, 김상호, 김대영, 안재영, 이한별, 설귀환, 전성준, 김태호, 조한진, 김진솔. (2019). 일학습병행 성과진단. 170-179, 197-198
- 5박지순, 김기선, 최수정. (2013).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 법제화 방안 연구, 고대 산학협력단
- 6박지순, 방준석, 최수정, 최홍기. (2014). 한국형 도제훈련 정착을 위한 제도화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연구용역
- 7서상선. (2002). 한국 직업훈련의 발자취, 대한상공회의소, 제2장, 278.
- 8안재영. (2019),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주요성과 및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슈페이퍼
- 9이병욱. (2017).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CP2017-02-04, 5~10.
- 10장신철. (2011). OECD 국가의 노동시장정책, 한국고용정보원, 6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