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specialized in communication field for 10 years from 2008 to 2018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research. 66 articles published in 6 major journ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journal, research area, research topic, research period, research method, and researcher's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 on the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s is focused on the health communication area centered on health issues, and the research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by scholars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In addition, interaction studies aimed at changing the behavior of individuals are found to be the mainstream and these studie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or analyze the communic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message or campaign strategy. In terms of methodological aspect, the experiment/quasi-experimental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according to the message or strategic characteristics, followed by survey. On the theoretical side, Framing/Priming Theories, Third-person Effects, Health Belief Models, and Construal Level Theory have been widely used. On the other hand,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research showed the highest share of two-person joint research, a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by researchers belonging to academia and relatively lacked joint research of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에 걸쳐 커뮤니케이션 분야 전문 학술 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했다. 총 6개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66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학술지별, 연구영역, 연구주제, 연구 시기, 연구방 법, 연구자 특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공공커뮤니케 이션 캠페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건강 이슈를 중심으로 하는 헬스커뮤니케 이션 영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PR학 분야의 학자들을 중심으 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인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하여 수용자의 특성을 파악하거나 메시지나 캠페인 전략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분석하는 상호작용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도 메시지나 전략적 특성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는 차원의 실험/유사실험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서베이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이론적 측면에서는 사회심 리학 분야의 이론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프레이밍 이론, 제3자효과, 건강신념모형, 해석수준이론 등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었 다. 한편,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연구는 2인 공동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학계에 소속된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 어 학제 간 또는 산학 연계를 통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1.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이해
2.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연구 흐름
연구문제
연구방법
1. 연구범위 및 분석대상
2. 분석 유목
3. 코딩 및 분석 절차
연구결과
1. 연구영역
2. 연구주제
3. 커뮤니케이션 전략 목표
4. 연구 분야/커뮤니케이션 속성
5. 이론과 모형
6. 연구방법
7. 연구자 특성
8. 연구대상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ppendix. 내용분석 대상 논문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