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o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이춘엽, 김지훈, 김희정, 홍기훈, 정혜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applied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Methods : This study applied the single-group experimental design to 29 elderly with mild dementia who use the day care center in B area, and conducted a total of 10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Intervention consisted largely of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were conducted one-on-one with various activities necessary to select occupational goals and achieve the goal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 person in charge. The effects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were confirmed through CERAD, BBS, and GDS.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total score of MMSE-KC, time orientation, attention, constructional praxis delayed recall, and trail making test B in the cognitive function changes, and standing to sitting, standing unsupported with eyes closed of BBS in the physical function changes, and in the GDS score in the depression changes (p<.05). Conclusion :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reducing depression. This provided a basis for proposing a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as an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적용하여 이러한 작업 중재 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B지역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 29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적 용하였고, 일주일에 한 번, 6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중재는 크게 집단 활동과 개인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개인 활동은 경도 치매노인과 담당자가 상의하여 작업 목표를 선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활동 들을 일대일로 시행하였다.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는 CERAD 평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인지기능 변화에서는 MMSE-KC의 총점과 시간 지남력, 집중력, 구성회상, 길 만들기 B에서, 신체기 능 변화에서는 BBS의 선 자세에서 앉기와 두 눈을 감고 잡지 않고 서 있기에서, 우울 변화에서는 GDS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맞춤형 작업 중재는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의 향상,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중재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제안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방법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중재 전·후 인지기능 변화
2. 중재 전·후 신체기능 변화
3. 중재 전·후 우울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춘엽 Lee, Chun-Yeop.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김지훈 Kim, Ji-Hoo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김희정 Kim, Hee-Jung.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홍기훈 Hong, Ki-Hoon.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정혜림 Jung, Hye-Rim.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