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OBA) Tool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OBA) tool.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16 people from October 1 to October 25, 2019.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OBA and 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11(OBQ11).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three areas of OBA and the total score of OBQ11(p<.01). All three areas were analyzed with positive correlations. The time use area (r = .554) and occupation frequency area (r = .574) were found to be correlated. Most of the sub-factors in the occupation characteristics area (importance r = .582, goal achievement r = .633, enjoyment r = .649, health r = .650) were analyzed with high correlation. Conclusion : OBA has proven to be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Further research needs to provide guideline on occupational balance for usefulness in clinical are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OBA)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OBA와 작업균 형 설문지(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11: OBQ1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OBA의 세 가지 영역별 점수와 OBQ11의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세 가지 영역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간사용 영역(r=.554)과 작업빈도 영역(r=.574)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 업특성 영역의 하위요인(중요도 r=.582, 목표성취 r=.633, 즐거움 r=.649, 건강 r=.650)은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로 분 석되었다. 결론 : OBA는 작업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임상적 유용성을 위해 작업균형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과정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OBA 영역별 점수
3. OBA와 OBQ11간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