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ocial Force Model for Maintaining Social Distance on Multi Use Facility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social distance maintenance and pedestrian route system was analyzed for Seoul Station, one of the multi us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OVID-19 pandemic. For analysis, the Seoul Station pedestrian net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urvey of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CAD floor plan. A pedestrian that maintaining Social Distance was implemented using the Social Force Model. Based on this, scenario analysis was proceed. As a result, when the walking line system was installed the average walking speed decreased compared to the current situation. but the average density was analyzed that maintain the walking level of service (LOS)‘C', this mean walking line system is effective, and the effect of the walking line system was proved. It can be used as a pedestrian simulation mode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대유행에 따른 다중밀집시설 중 하나인 서울역 역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유지 및 보행동선체계 구축에 따른 효과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을 위해 서울역 CAD 및 철도역사 이용객 수 조사를 통하여 서울역 보행 Network를 구축하였 으며, Social Force Model을 활용하여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를 유지하는 보행자를 구현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보행동선체계 도입 시 현황과 비 교하여 평균보행속도가 감소하였으나 평균보행밀도의 경우 보행 서비스수준(LOS) ‘C’를 유지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보행동선체계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향후 보행계획 시 보행 시뮬레이 션 모델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개요
Ⅱ. 선행연구
1. 다중밀집시설의 사회적 거리/보행유도 관련 연구
2. 보행행태 분석 시뮬레이션 관련 연구
3.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
Ⅲ. 방법론
1. Social Force Model
2. VISWALK
Ⅳ. Case study
1. 분석 개요
2. Network 구축
3. 시나리오 설정
4. 시나리오 분석결과
Ⅴ.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