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부-공중 관계성에 대한 정부 관계자, 청년, 시니어 간 인식 차이 비교 : 상호지향성 모델의 적용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by Government Officials, Young Citizens, and Senior Citizens :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김지윤, 김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ual differences of the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by government officials and citizens. To reflect the perceptual differences and generational conflicts between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n Korea, this study compared a young population in their 20s and an elderly population in their 60s and 70s. This study applied co-orientation analysis to compare the perceptual differences of the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young citizens, and elderly citizen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government officials, young citizens, and elderly citizens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during October and November 2019. The responses from 98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ponses from 104 young citizens in their 20s and 104 elderly citizens in their 60s and 70s were also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s of agreement and accuracy between the perception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young citizens were both low. Government officials and elderly citizens also showed a low level of agreement and accuracy. However, the comparison of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young and elderly citizens showed a high level of accuracy, although the level of agreement was low. The results revealed that government officials evaluated the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more positively than did young and elderly citizens. Interestingly, government officials estimated that their perceptual difference with elderly citizens would be greater than their perceptual difference with young citizen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Korean citizens regarding the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s provided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government’s need to enhance the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한국어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정부-공중 관계성에 대한 정부 관계자와 국민의 인식 차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 인식 차이와 갈등이 한국 사회의 주요 이슈인 점을 고려하여 국민을 청년 (20대)과 시니어(60∼70대)로 구분하였다.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해 정부-공중 관계성에 대한 정부 관계 자와 청년, 정부 관계자와 시니어, 청년과 시니어의 인식 차를 알아보았다. 방법 2019년 10월부터 11월 초까지 약 한 달간, 정부 관계자와 청년, 시니어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을 통하여 설 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부 관계자는 교육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환경부·국가보훈처 5개 부처 근무자 총 98명, 청년층은 20대 국민 총 104명, 시니어는 60∼70대 국민으로 총 104명의 응답이 분석에 이용되 었다. 결과 최지현과 조삼섭(Choi & Jo, 2017)이 제시한 정부-공중 관계성의 두 구성 차원(국정 수행 역량, 국정 소통 역량)에 대해 정부 관계자와 청년, 정부 관계자와 시니어 간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가 모두 낮 게 나타났다. 청년과 시니어의 인식 차이 비교 결과, 국정 소통 역량에 대한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국정 수행 역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청년과 시니어 인식 간 정 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정부 관계자가 청년, 시니어보다 정부-공중 관계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정부 관계자는 청년보다 시니어와 인식의 차이가 더 클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정부-공중 관계성에 대한 정 부 관계자와 국민 간 인식 차이 비교를 통해 정부의 국정 수행 및 소통 역량이 청년과 시니어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목차

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정부-공중 관계성 논의
국정 수행 역량
국정 소통 역량
한국 사회 내 세대 간 인식 차이
상호지향성 모델의 정부-공중 관계성 적용
연구문제
연구 방법
표본 선정과 설문 진행
변수의 설정 및 측정
연구 결과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결과
연구문제 분석 결과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윤 Jiyun Kim.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 김수연 Soo-Yeon Kim.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