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동산신탁 특집

부동산신탁관계에서 위탁자의 채권자의 권리

원문정보

Rights of Creditors against Settlors of Real Estate Trusts

김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real estate trust (“RET”), a type of trusts that has a real estates as its trust asset, is commonly used in Korea. Such use of RETs inevitably leads to difficulties for creditors of settlors of RETs to collect the claims against the settlors, and results in tense relationship between insiders of a RET, especially, a preferred beneficiary, and creditors of the settlors, as outsiders. This article reviews different types of rights that can be enforced by creditors of settlors to satisfy their claims as creditors and the scope of and limitation on the enforcement of such rights and limitations, seeking a harmony among parties with conflicted interests. Upon the establishment of a RET, creditors of a settlor may no longer seek a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a real estate trusted in the RET, and have no choices other than pursuing a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the settlor’s beneficial interest in the RET (i.e., the right to the return from the trust).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RET automatically converts the ownership right of the settlor to the trusted real estate into a beneficial interest in the RET, the beneficial interest in the trust should be in the focus of discussions. Due to the flexibility in operation of trusts, beneficial interests in trusts can take various forms based on the design of relevant trusts, which can make it difficult for the settlors’ creditors to enforce a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the beneficial interests. Based on substance and legal forms that can be taken by beneficial interests in trusts, creditors can consider the enforcement of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a financial bond, claim for corporeal movables, or other property rights such as shareholder’s rights. Where the main purpose of establishing and trusting a property into a trust is a fraudulent conveyance such as evasion of creditor’s claims, the creditor of the settlor is allowed to claim the revocation of the trust and conversion of the trusted property into the settlor’s property. In principle, a legal standard that should b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the purpose of a trust is a fraudulent conveyance or not is not materially different from the one to determine on the revocation of a transaction under the Civil Law Article 406 of Korea. However, as RETs likely involve more complex interests such as real estate redevelopment projects, there may be a need for a new, separate rule to be applied to the creditors’ claims with respect to RETs, which requires further discussions. In conclusion, creditors of settlors of RETs can use measures of a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a beneficial interest in a RET or cancellation of fraudulent Trust to satisfy their claims against the settlors. There are different views as to the meaning, character, manner of a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a beneficial interest and determination and eligible claimants of cancellation of fraudulent Trust and further discussions should be made on those issues. However, the mere fact that a settlor trusts a real estate into a trust should not prevent the creditor of the settlor from having access to legal protections provided to creditors by different law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legal protections provided to the creditor of the settlor of a RET should not be different from that for creditors in other circumstances.

한국어

우리나라는 부동산을 신탁재산으로 하는 부동산신탁의 활용도가 높다. 이와 같은 부동산신탁의 활용은 필연적으로 위탁자의 채권자의 채권회수의 곤란을 초래한다. 그 결과 부동산신탁관계의 내부인(특히 우선수익자)과 외부인인 위탁자의 채권자는 항상 긴장 관계에 있을 수밖에 없다. 본고는 부동산신탁관계에서 대표적으로 이해 관계가 대립되는 이들 사이의 이익을 조화하는 차원에서, 위탁자의 채권자가 자신 의 채권의 만족을 얻기 위해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의 종류, 행사 범위, 그 한계 등을 검토하였다. 부동산신탁이 설정되면, 위탁자의 고유재산인 부동산이 신탁재산이 되므로 위탁자 의 채권자는 더 이상 신탁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하지 못한다. 위탁자의 채권자 로서는 위탁자가 신탁관계에서 가진 재산적 권리(수익권)가 유일한 강제집행의 대 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신탁의 설정으로 위탁자의 재산은 수익권으로 전환되는 것 이므로, 주목할 것은 바로 ‘수익권’이라고 하겠다. 신탁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신탁 설계에 따라 위탁자가 가진 수익권의 모습은 너무나 다양할 수 있어, 강제집행에 있어 위탁자의 채권자가 일정 부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 수익권의 내용과 그 법적 성질에 따라 “금전채권에 대한 강제집행”, “유체물의 인도청구권 등에 대한 강제집행”, “그 밖의 재산권에 대한 강제집행 중 사원의 지분에 대한 강제집행”방식 으로 채권자는 만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신탁의 설정이 채무면탈 등 사해행위인 경우 위탁자의 채권자는 이를 취소하여 위탁자의 책임재산으로 만들어 자신의 채권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사 해신탁취소권의 사해성 판단은 원칙적으로 민법상 채권자취소권과 아예 다른 기준 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부동산개발행위가 결부되는 등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부동산신탁과 관련하여 사해성 판단에 있어서는 독자적 기준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인바, 이 부분 역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위탁자의 채권자는 수익권에 대한 강제집행과 사해신탁취소권 행사 방 식으로 자신의 채권의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수익권의 의미, 성질, 강제집행방식, 사해신탁취소권의 사해성 판단, 행사 주체 등에 있어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고, 앞으로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위탁자가 신탁을 설정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채권자의 권리보호에 있어 다른 법률관계와 달리 취급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위탁자의 채권자가 다른 채권자보다 더 보호되어서도 덜 보호되어서도 안된다.

목차

【초록】
Ⅰ. 들어가며
Ⅱ. 신탁재산의 독립성-위탁자로부터의 독립성
1. 신탁재산의 독립성의 의미(특히, 위탁자로부터의 독립성)
2. 위탁자의 채권자의 강제집행의 가능성
3. 위탁자의 채권자에 대한 도산격리기능
4. 소결
Ⅲ. 수익권에 대한 강제집행 가능성
1. 논의의 방향
2. 수익권의 개념 및 법적 성질
3. 수익권의 압류가능성
4. 수익권에 대한 강제집행의 방식
5. 수익권 압류의 형태별 효력 범위 및 그 집행
6. 수익권의 압류 관련 최근 대법원 판결(대법원 2018. 12. 27. 선고2018다237329 판결)
7. 소결론
Ⅳ. 부동산신탁에 있어서의 사해신탁취소권의 행사
1. 논의의 방향
2. 사해신탁취소 제도의 개관
3. 부동산신탁의 사해성 판단의 기준
4. 부동산신탁의 사해성 판단의 기준과 관련된 대법원 2016. 9. 23.선고 2015나223480 판결
5. 보론- 신탁재산인 부동산을 위탁자가 처분하는 것이 사해행위인지여부와 관련된 대법원 2016. 11. 25. 선고 2016다20732 판결
6. 소결론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훈 Kim, Ji Hoon. 법무법인(유한) 광장 변호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