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이진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youth policies by analyzing and validating the mediated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the impact of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The population consisted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olescents(n=1,979) in high school first grade student who completed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in 2016. The study analyzed the data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modeling,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 The result is following; Self-rated health has significant effects of ego-resilience(β=.26, p<.05). Self-rated health(β =.18, p<.05) and ego-resilience(β=.45, p<.05) have shown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ego-resilience have been shown to be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dolescents who scored high on self-rated health were better the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for adolescent, it was confirm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consider the self-rated health as well as self-resil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검증 함으로써 다양한 청소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16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이차자료이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 1학년 자료(n=1,979)를 분석하였다.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 여 데이터를 기술 분석,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은 자 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26, p<.05). 주관적 건강수준(β=.18, p<.05)과 자아탄력성(β=.45, p<.05)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 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 적 영향을 주며,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데 있다. 이로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고려하여 다차원적 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조사대상자 및 분석자료
2.3 연구 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
3.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3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진표 Jin-Pyo Lee.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