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y aimed at increasing public’s intention to accept AI. Knowledge regarding AI and feelings regarding AI were found to influence acceptance to intention towards AI.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explore the moderation effect of confidence in government on knowledge and feelings regarding AI. Results showed that as advanced knowledge regarding AI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negative feelings regarding AI has a nega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Feelings regarding AI had the highest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followed by confidence in government and knowledge regarding AI. Results also revealed that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regulation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a low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regulations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was more influenced by feelings regarding AI than by knowledge regarding AI. Furthermore,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which provides one insightful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인공지능 수용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수준과 감정적 요인이 인공지능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영향을 정부신뢰가 조절하 는지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수용의도가 증가하였고,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이 부정적으로 형성될수록 인공지능의 수용의도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수 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 정부신뢰,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제에 대한 정부신뢰가 높을수 록 수용의도가 증가하였으며, 규제에 대한 정부신뢰가 낮은 집단일수록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종교가 인공지능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전반적인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감정, 그리고 규제에 대한 정부신뢰라는 변인을 통해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실증 분석하여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존문헌 검토
3. 연구설계
3.1 가설에 따른 연구모형
3.2 변인의 측정
3.3 표본 특성
3.4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