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아스포라 논문

신소설에 나타난 이민 실패와 아시아주의 의식 연구 - 1910년 전후 신소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wareness of Asianism through Immigration Failure in the New Novel - Focusing on new novels before and after the 1910s

신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nges in the contents of new novels occurred around the 1910s. During this period, the colonial rule of Japan over Joseon became in full swing, causing exploitation and economic problems in Joseon. Because of this problem, the Joseon people’s immigration increased. New novels around the 1910s reflect and imitate this situation that Koreans migrated abroad. With the strengthening of Japan's colonial policy, the Korean people’s desire to migrate abroad was amplified. The reality of the times was described in new novels such as Walhagain (Hae-Jo Lee, 1911), Sohakryung (Hae-Jo Lee, 1912), and Songroigum (Jeong-Su Yuk, 1908)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1910s. The pattern of immigration represented in these works, however, was set in the early 1900s. Because Japan government established an aggression policy through racism in Joseon in the early 1900s,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Koreans moved abroad. In the novels published around the 1910s, the immigration issues of the early 1900s were made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to prevent Koreans from immigrating to other countries due to Japan's strengthened colonial policy. This can be seen as a movement of the blockade against the Koreans heading to the world of horizontal order.

한국어

신소설에서 소재 변화는 1910년대를 전후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조선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 통치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수탈과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조선인들의 해외 이주가 증가했다. 1910년을 전후한 신소설에는 이러한 시대 상황을 반영, 모방하고 있는데 해외로 이주하는 조선 인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탈조선에 대한 조선인들의 욕망은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강화될수록 증폭 되었고, 1910년 전후에 발표된 신소설은 조선인들의 이민 양상을 통해 시대 적 현실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이해조의 소설 「월하가인」(1911), 「소학령」(1912)과 육정수의 소설 「송뢰금」(1908)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세 소설은 1910년 전후에 발표되었지만, 소설에서 담고 있는 이민 양상은 1900년대 초 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00년대 초 일본은 인종 중심주의를 통해 조선에서 의 침략 정책을 수립하였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인들의 탈조선화 현상이 나타났다. 1910년 전후에 발표한 소설에서 1900년대 초 이민 문제를 담고 있 는 것은 일본의 식민지 정책 강화로 인해 또다시 나타났던 조선인들의 탈조 선을 저지하기 위한 정치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조선인들이 수평 적 질서의 세계로 향하는 것에 대한 봉쇄의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목차

국문 초록
1. 1910년대와 새로운 질서로의 움직임
2. 신분 회복에 대한 열망과 탈조선화를 통한 서구 공간 모색
3. 가부장 복귀를 위한 조선으로 회귀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은경 Shin, Eun-kyung.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