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RPs Study on the Processing of the Subject Honorification in Korean
초록
영어
In the honorification of Korean, it has been a critical question whether the honorific agreement between a verb attached with an honorific suffix “-si”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topic of the sentence is syntactic or pragmatic in nature. The results from the relevant ERP studies, e.g., vary depending on the involved honorification form or the social status of the hearer (the object of honorification). To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this issue, we conducted an ERP experiment using complex sentences including a subject relative clause, such as “가방-을(bag-rel.acc)구입-한(bought-rel.verb[-HON]) /*구입하-신(bought-rel. verb[+HON]) 수미-는(Sumi_top[-HON]) 영 수증-을(receipt-acc) 보관했다(kept-verb) (Sumi who bought the bag kept the receipt)”. The verb of the relative clause was either marked with the verbal honorific suffix -si or not, hence agreed with the head noun (proper noun, Sumi) in the latter, but not in the former. 52 sentences were generated 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104 filler sentences) and the brain responses from 14 Korean native speakers were recorded at the proper noun position. Unfortunately,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ERP component reflect the violation of the honorific agreement at the subject noun and the sentencefinal verb. At the object noun in the main sentenc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nditions at Fz and LA area but it was not a typical component reflecting neither semantic nor morpho-syntactic violation. Several possibilities are discussed for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경어법에서 선어말 어미 ‘-시’가 붙은 동사와 해당 문장의 주어/주체 사이의 경어 일치가 본질적으로 형태-통사적 처리인지 화용적 처리인지를 확 인하기 위하여 높임 선어말 어미 ‘-시’가 사용되지 않은 일반 문장(“가방을 구입한 수미는 영수증을 보관했다")과 ‘-시’가 사용되는 관계절 문장의 수식을 받지만 경어 조사가 사용될 수 없는 위반 문장(“가방을 구입하신 수미는 영수증을 보관했다")에 대한 ERP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 조건 (+104 필러 문장)에 대해 52개의 문장이 생성되었고, 한국 원어민 14명의 뇌 반응이 주절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 술어에서 각각 기록되었다. 그 결과, 주어와 문장 마지막 동사에서는 일반 문장 대비 경어법 위반 문장에서 위반을 반영하는 어떠한 주요 ERP 성분도 확인할 수 없었다. 주문장의 목적어에 위치에서는 Fz와 LA 영역 의 조건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나긴 했지만 의미론적 또는 형태-통사론적 위반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전형적인 성분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가능성을 결론 및 논의에서 고찰하였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경어법 처리에 관한 선행 실험연구
3. 실험진행
4. 실험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