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실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초등교사의 의사결정 과정 탐구

원문정보

Explo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Classroom level

이소희, 정광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cision-making on classroom curriculum development by describing classroom curriculum plans and implementation as classroom curriculum development, considering that the curriculum plan can be changed properly. For this, an action research was chosen. Teacher L selected a achievement standard in science to plan and implement ‘Earth rotation’ curriculum. The results obtained by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Earth rotatio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curriculum is completed through two processes of planning the curriculum before class and actually practicing the class. ‘Earth Rotation’ was a curriculum scheduled for four classes. Teacher L deleted or modified the plan, created a new activity, and coordinated the class. This was the development of a classroom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 judged the class coordination by reflecting or not reflecting the teacher's predictions, the students' opinions, and the class environment immediately before implementation. Through these results, the teacher's decision-making process about the curriculum was discussed in three ways. The first route is the route of planned Instruction-student-class coordination. This is called the ‘productive imagination’ path. The second route is the planned lesson-teacher's prediction-class coordination. This is called the ‘teacher’s new idea’ path. The third route is the planned lesson-environment-class coordination. This path is called the ‘possible vs impossible’ path. Therefore, this study was a series of processes for teachers to negotiate the decision-making about the classroom curriculum and mediate the national curriculum requirements, student need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curriculum negotiation table. In this regard, it was concluded that classroom curriculum development was a process for teacher decision making.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과정 계획은 마땅히 바뀔 수 있다고 보고, 교실교육과정 계획과 실행을 교실교육과정 개발로 기술하여, 교실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의사결정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L교사가 ‘지구의 자전’ 교육과정을 계획한 과정 을 기술했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중 계획한 교육과정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기술했다. 셋 째, 수업 중 교실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교육과정과 관련해서 어떤 의사결정 을 하였는지를 논의하였다. ‘지구의 자전’ 교육과정 계획과 실행을 기술하고 비교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교육과정 개발은 수업 전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과정과 수업 중에 실제로 수업을 실천하는 두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다. L교사는 계획을 삭제, 변형하거나 새로운 활동을 생성 하며 수업을 조정해서 실행하였다. 이 과정이 교실교육과정 개발이었다. 둘째, 교사는 실행 직전 교사의 예측, 학생이 제시한 의견, 수업환경(시간, 시설, 학습준비물)을 반영하거나 미반 영하여 수업 조정을 판단했다. 이 결과를 통해 교실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의사결정 과정을 세 가지 경로(생산적인 상상 경로, 교사의 새로운 아이디어 경로, 가능 vs 불가능 경로)로 나타내 어 논의하였다. 교실교육과정 개발은 교사가 교실교육과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협의하는 리더로서 교육과정 협상 테이블에 국가교육과정의 요구(성취기준 이수), 학생의 요구, 환경 조건을 중재하는 일련 의 과정이었다. 따라서 수업 전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과 수업 중 교육과정 실천과정을 거쳐 서 교실교육과정 개발이 완성되는 것이었다. 이에 수업 전 교육과정 계획이나 문서처럼 교실 교육과정은 고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학생과 교실 상황에 따라 변화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존 재한다는 점에서 교실교육과정 개발은 교사가 수업을 마쳐야 완성되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교실교육과정 개발은 Bolin이 말하는 교사의 의사결정 과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Weade의 Curriculum’n’Instruction
2. Bolin의 교육과정 의사결정자로서의 교사
Ⅲ. 연구 방법
1. 연구방법
2. 연구 대상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교실교육과정 개발: 지구의 자전
1. ‘지구의 자전’ 교육과정 계획
2. ‘지구의 자전’ 교육과정 실행
3. L교사의 교실교육과정 개발
Ⅴ. 교실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Ⅵ. 교육과정 의사결정자로서의 교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소희 Lee, Sohee. 동삭초등학교 교사
  • 정광순 Jeong, Kwangsoon.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