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교육과정 형성 모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ation Model of Curriculum Making at School

강윤주, 정광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scribed and discussed a case of the formation of school curriculum making at school in order to answer ‘how school curriculum are formed and how they should look to continue’. To this end, Somang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Vision" and "Program" were first identified and described how it became what it was today. Teachers at Somang Elementary School redesigned the teacher "organization" and set their own decision-making principles and communication methods to establish an "education vision" together with all faculty members. Afterwards, the education vision was embodied into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focused activities through consultation. In particular, education-focused activities were designed to serve as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each class 'program' as a criterion for implementing educational vision as a class. Initially, 'assessment' was to confirm whether the organization implemented programs designated as education-focused activities in each grade, but gradually evaluated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educational vision and programs and actively reflux them. As a result, the connection of the 'Educational Vision - Program' was solidified as the maintenance and change of the educational vision and programs were actively carried out. If we discuss the school curriculum formation model as an example of the wish curriculum, the factors that form the school curriculum are 'organization, educational vision, program and evaluation'.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al vision include "humanity, educational goals, and intensive activities," and "members share and accept the vision through the process of sophisticating the vision." The areas of the program are divided into "schools, grades and classes," and the programs of the school are "frames" of grade and class programs, which serve as the basis for program development, such as the domain system or content system of the national education process. The "organization" "assesses"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ducational vision and program in the school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organization functions as the central axis of the school education process by interrelating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vision and the two levels of the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as well as decision making at each level of 'educational vision, program and evaluation'. Based on this relationship, the school curriculum is formed and changes and maintenance are repeated.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 형성 사례를 기술하고 논의함으로써 ‘학교교육과정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며, 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소망초등학교의 ‘교육비전’과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를 기술하였다. 소망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사 ‘조직’을 새 롭게 정비하고 그들만의 의사결정의 원칙과 소통 방식을 정하여 전 교직원이 함께 ‘교육비전’ 을 수립하였다. 이후 협의를 거치며 교육비전을 교육목표와 교육중점활동으로 구체화 하였다. 특히 교육중점활동은 교육비전을 수업으로 구현하는 기준으로서 각 학급 ‘프로그램’ 개발의 틀로 역할하도록 했다. ‘평가’는 초기에는 각 학년에서 교육중점활동으로 정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가를 확인하는 차원이었으나, 점차 조직이 교육비전과 프로그램의 본질적 측면을 평 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환류하였다. 그 결과 교육비전과 프로그램에서 유지와 변화가 활발 하게 이루어지면서 ‘교육비전-프로그램’의 연결이 공고해졌다. 소망교육과정 형성 과정을 사례로 학교교육과정 형성 모형을 논의해 보면, 학교교육과정을 형성하는 요소는 ‘조직, 교육비전, 프로그램, 평가’이다. 교육비전의 요소는 ‘인간상, 교육목표, 중점활동’ 등으로, 구성원들은 비전을 정교화하는 과정을 통해 비전을 공유·수용한다. 프로그 램의 영역은 ‘학교, 학년, 학급’으로 나뉘며, 학교의 프로그램은 학년·학급 프로그램의 ‘틀 (frame)’로서 국가교육과정의 영역체계나 내용체계와 같이 프로그램 개발의 기준이 된다. ‘조 직’은 교육비전과 프로그램이 학교교육과정에서 갖는 의미와 역할을 기준으로 학교교육과정 을 ‘평가’한다. 즉, 조직은 ‘교육비전, 프로그램, 평가’의 각 층위에서의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세 층위를 관통하면서 교육비전을 프로그램에 녹여내고, 평가 결과를 통해 교육비전과 프로 그램 두 층위를 상호 관계 지으며 개선함으로써 학교교육과정의 중심축으로서 기능한다. 이 런 관계를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은 변화와 유지를 거듭하며 형성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학교교육과정 개발 이론과 모형
1. 이론적 접근
2. 모형적 접근
Ⅲ. 연구 설계
1. 연구 방법
2. 연구 대상
3. 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2018 소망교육과정’ 형성 과정
1. ‘2018 소망교육과정’의 모습
2. ‘2018 소망교육과정’ 형성 과정
Ⅴ. 학교교육과정 형성 모형에 대한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윤주 Kang, Yun Ju. 이리모현초등학교 교사
  • 정광순 Jeong, Kwang Soon.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