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도 국제학술대회

육자진언의 전래와 전개양상

원문정보

The Tendency and Development of the Six Syllables Mantra

김경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한국불교에 있어 진언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전래되었다. 각국에 서 진언을 외우는 신앙이 존재했던 것처럼 한국불교 역시 진언을 외 우는 수행과 신앙이 오래전부터 존재하였다. 따라서 그 숫자 역시 많 을 수밖에 없다. 그런 진언 가운데 하나가 육자진언이다. 육자진언은 관자재보살본심 미묘육자대명왕진언으로 ‘옴마니반메훔’이다. 이 진언은 대승불교가 전파된 대부분의 지역에서 활발하게 신행되었다. 그 저변에는 관음 신앙이 폭넓게 신앙된 것과 관련이 깊다. 육자진언의 한국 전래는 고려 초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여러 정황을 고려할 때 11C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 육자진언을 전래한 대표적인 문헌은 大乘莊嚴寶王經, 마니칸붐, 그 리고 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이다. 이런 문헌을 통해 전해진 육자진 언은 공덕이 큰 진언으로 수지염송과 서사의 공덕이 강조되었고, 또 한 삼마지를 얻고 육바라밀을 성취하여 깨달음을 얻고 佛身을 체득 할 수 있다는 수행체계가 성립될 수 있었다. 육자진언은 전래된 이래 다양한 방면으로 수용되었다. 향완과 범종 등 불교신앙에 필요한 佛具와 불보살을 모신 전각의 장엄에 활용되 어 문화적 가치를 높였다. 그리고 銅鏡과 같이 일상적인 물건에도 활 용되어 대중들에게 호신의 역할을 하였다. 육자진언이 신앙적으로 중요하게 된 것은 조선시대이다. 배불정책으로 기복적인 불교가 되면서 육자진언 또한 교리적인 연구나 수행체 계의 정립보다는 공덕성취의 기원으로서 持誦되었다. 자연히 그런 진언을 모은 진언집이 발간되었으며, 관음보살이 대중적인 신앙으로 자리하면서 대비심이 강조된 천수경이 널리 유포되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육자진언의 전래 시기
Ⅲ. 육자진언의 문화적 수용
Ⅳ. 육자진언의 신앙적 전개
1. 진언집 발간과 육자진언
2. 천수경 속의 육자진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경집 Kim Kyung Jib. 진각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