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prevent the suicide of adolescents who are impulsively caused by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at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is study is a one-grup pretest- posttest design and was conducted on 22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S gu's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City B.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7.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utiliz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lf-esteem(t=-2.10, p =.048) and strength scores(t=-2.18, p =.01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ir difficulties(t=3.03, p =.006)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tes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self-esteem, strengths and difficulties.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event adolescent suicide by improv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accommodating themselves, grasping their strengths, and resolving negative emotions about themselve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로 인하여 충동적으로 발생하는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강점·난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측정 실험설계로서, 2017년 7월∼12월까지 B시의 S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중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 구는 자아존중감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척도, 강점·난점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 estionnaire, SDQ-kr) 척도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 구결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처치 전 72.09점에서 처치 후 77.32점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10, p =.048)가 있었다. 강점·난점에서 청소년의 강점 점수는 처치 전 6.18점에서 처 치 후 7.14점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18, p =.014)가 있었다. 난점은 처치 전 11.5 5점에서 처치 후 8.36점으로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t=3.03, p =..006)가 있었다. 본 연구 를 통해 개발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강점·난점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 이 검정 되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살의 보호 요인 중 하나인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자신을 수용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장점을 파악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프로그램의 내용구성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5. 연구도구
6.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가설검증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Abs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