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음파를 활용한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기록 방법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Recording Method of Underwater Excavation Using Sonar

허문녕, 이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oducing photographs or plans is a challenging task in the underwater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 as it is hard to ensure the visibility underwater. However, underwater geophysical prospecting equipment using sonar is not much affected by turbidity level. In this chapter, underwater geophysical prospecting equipment is employed to complement the recording at site. It was employed at the waters of Taean Dangampo, Yeonggwang Nakwoldo and Jindo Myeongnyangdaecheop-ro in 2017-2019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esults of research exploiting the equipment was studied. In 2017, side-scan sonar, multibeam echo sounder, and scanning sonar were deployed at the underwater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 in the waters of Taean Dangampo after the sediment removal,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equipment. Adaptation of side scan sonar at 1250kHz frequency appeared to have relatively high resolution but distortion occurred during the process. Multibeam echo sounder did not have many distortions but had a low resolution. Scanning sonar had revealed decent results in both resolution and distortion level, nonetheless, time consuming covering a wide area.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scanning sonar underwater where the visibility is low, scanning sonar images were exploited to produce the plans of the archaeological site at Yeonggwang Nakwoldo Island (2018) and Jindo Myeongnyangdaecheop-ro (2019). The site at Nakwoldo Island was 120m east-west, 220m north-south and 11 scanning sonar images were assembled to confirm the site. At the waters of Myeongnyangdaecheop-ro, the method of placing reflectors and using them as reference points in layering the scanning sonar images was experimented. Through these series of experiments, the application of scanning sonar at murky underwater site presented to produces more effective plans than the ones from past surveys.

한국어

수중발굴조사에서는 수중이 혼탁한 경우 사진이나 도면을 남기기 어렵다. 반면, 음파를 이용한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는 수중 탁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고에서 는 음파의 이런 특징을 활용하여 수중발굴조사 기록을 보완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2019년 태안 당암포 해역, 영광 낙월도 해역,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를 운용하고, 탐사장비를 활용한 조사기록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어떤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가 수중발굴조사 기록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2017년 태안 당암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측면주사음파탐지기, 다중빔음향측심기, 스 캐닝소나를 운용하여 제토조사 구간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측면주사음파탐지기는 주파수 1250kHz를 사용하였을 때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보여주었으나, 조사과정에서 왜곡이 발 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중빔음향측심기는 왜곡은 크게 발생하지 않았지만 해상도가 떨어졌다. 스캐닝소나는 비교적 왜곡이 적고 결과물도 양호하여 제토조사 구간을 기록하 기에 적당하였다. 하지만 넓은 범위를 조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혼탁한 수중환경에서 진행하는 수중발굴조사에서 스캐닝소나의 활용성을 검토 하기 위해 2018년 영광 낙월도 해역과 2019년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스캐닝소나 영상을 이용하여 조사도면을 작성하는데 활용하였다. 낙월도 해역에서는 동서 120m, 남북 220m라는 넓은 조사구역의 해저모습을 11개의 스캐닝소나 영상을 이어 붙 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는 해저에 반사체를 설치하여 스캐 닝소나 영상을 이어 붙이는 기준점으로 삼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이런 일련의 실험을 통해 혼탁한 수중발굴조사 현장에서도 스캐닝소나를 운용하면 기존 수중발굴조사에서 작성한 도면보다 더 효과적인 기록을 남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수중발굴조사에 적용 가능한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 비교 검토
1. 기존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기록 방법
2.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 비교실험
3.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 실험 결과
Ⅲ. 스캐닝소나를 활용한 수중발굴조사 기록 방법 연구
1. 스캐닝소나 자료 이어붙이기(mosaic)
2. 혼탁하고 넓은 범위에 대한 수중발굴조사에서 스캐닝소나 활용
3. 반사체를 이용한 스캐닝소나 운용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문녕 Heo Munnyeong.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학예연구사
  • 이영현 Lee Younghyun.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