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물질문화 교류 - 죽변리유적 토기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Exchange of Material Culture along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eolithic Age - Focused on the Pottery Site of remains Jukbyeon-ri -

하영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xchange of material culture in the initial phase of the Neolithic period by focusing on pre-early Neolithic pottery found in east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Pottery excavated from the Jukbyeon-ri remains in Uljin was classified by type,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stages of development. To establish the stages of development, pre-early Neolithic remains in the East Coast region were divided into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areas, and the pottery was compared for changes. Four distinct stag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ottery-making method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e exchange of material culture between these three areas of the eastern coastal region. Pottery excavated from pre-early Neolithic remains in the East Coast suggests that the exchange of material culture occurred in the following manner: initially, different material cultures developed separately in each of these areas. When the neighboring areas came into contact or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 encounter between the two different material cultures gave rise to a new type of material culture. As a result, pottery across the eastern coastal region became highly similar both in terms of type and appearance. Later with the further broadening of exchange, the surface of pottery was decorated with the same comb pattern-type motif, found at the end stage of the pre-early pottery, which quickly progressed to Early Neolithic pottery.

한국어

이 글의 주제는 신석기시대 조기 동해안지역 토기를 통해 본 물질문화 교류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전개는 울진 죽변리 유적 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기종별 형식을 분류하 고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유적을 북부권역과 중부 권역, 남부권역으로 나누어 토기 변화상을 비교하여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변 화 단계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토기변화 단계는 크게 4단계가 설정되었고 동해안지역에 서 토기 제작 방법의 유사성과 이질성은 권역별 물질문화 교류에 의한 것으로 보고 4획기 의 교류양상을 설정하였다.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유적 출토 토기로 본 물질문화 교류 양상은 먼저 권역별 물 질문화가 생성되어 인접 권역과 접촉 또는 교류하는 과정에서 두 물질문화가 접목되어 새 로운 물질문화가 나타난다. 이후 동해안지역 대부분의 토기 기형면에서 유사한 형태를 가 지며 동일한 모티브의 문양 시문형태를 가지는 광역교류기를 거쳐 물질문화 변동기가 도래 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1. 연구사
2. 시·공간적 배경
Ⅱ. 죽변리유적 토기 기종과 형식분류
1. 죽변리유적 토기 제작 기법
2. 죽변리유적 토기 기종분류 및 형식 분류
Ⅲ. 죽변리유적 토기 단계별 토기군 검토
1. 죽변리Ⅰ단계 토기군
2. 죽변리 Ⅱ단계 토기군
3. 죽변리 Ⅲ단계 토기군
4. 죽변리 Ⅳ단계 토기군
Ⅳ. 동해안지역 토기군 검토 및 물질문화 교류
1. 동해안지역 조기 토기 검토
2.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로 본 동해안지역 물질문화 교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영중 Ha, young-jung. 삼한문화재연구원 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