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세기 중반 조일관계의 전개와 彦滿圖書 교섭

원문정보

Development of Joseon-Japan Relations and Negotiations on the Unman-Doseo in the mid-17th century

17세기 중반 조일관계의 전개와 언만도서 교섭

유채연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9호 2020.07 pp.199-22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establishing a new Joseon-Japan relationship through the negotiations of Unman-Doseo with Tsushima in the mid-17th century. Tsushima regarded the dispatch of the Munwihaeng in 1640 as a congratulatory remark for the birth of a Tsushima Governor’s son. Therefore, Tsushima officially requested the Unman-Doseo from September, 1640.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Unman-Doseo, Tsushima raised the issued of the Waegwan transfer or put pressured on Joseon by security issues. And Tsushima showe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Tsushima dictator to emphasized the special attention from Bakufu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entertainment for Unman Songsa. Furthermore, Tsushima dispatched one Apmulgwan(押物官) with a letter to ‘Yejochameui(禮曹參議)’ as the Unman-songsa without consultation with Joseon. At that time, Joseon recognized that the threat of Tsushima came from the Bakufu’s pressure and accepted Tsushima’s request. At the same time, Joseon gave grace to Tsushima and induced that Joseon was leading the negotiation. Joseon’s decision wa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in Japan that has been collected. This Joseon policy stabilized Tsushima Governor’s position after the “the Yanagawa Affair”, so it reduce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existing diplomatic regime between Joseon and Japan. Moreover, Joseon could maintain the leadership that was secured based on the Joseon’s inclusiveness and generosity on Tsushima.

한국어

본 연구는 17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격변 속에서 조선이 새롭게 조일관계를 구축해 가는 과정을 대마도와의 彦滿圖書 교섭을 중심으로 검토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640년 문위행의 파견을 ‘도주의 득남’을 축하하는 사절로 인식한 대마도 는 동년 9월부터 언만도서를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다. 언만도서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대마도는 왜관의 이관문제를 제기하거나 조선에 민감한 안보 이슈 를 이용하여 조선을 압박하였다. 또한 언만송사에 대해 접대의 격을 높이기 위해 막부의 특별한 관심을 강조하며, 대마도주의 교체가능성도 암시하였다. 더욱이 조선과의 협의 없이 언만송사에 압물관 1인을 증원하고, ‘예조참의’에 게 보내는 서계를 지참하여 파견하였다. 당시 조선은 대마도의 위협적인 요청이 막부에 대한 부담에서 나온 것임을 파악하고, 대마도의 요청을 수용하였다. 동시에 대마도에 은혜를 베풀어 조선 이 상황을 주도하는 방향으로 결론지었다. 이같은 조선의 결정은 그동안 수 집해 온 일본정세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국서개작사건’으로 위축된 대마도 주의 지위를 안정시킴으로써 기존의 조일외교체제에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줄이면서, 무엇보다도 그동안 대마도에 베풀어온 포용과 관대함 을 바탕으로 확보해 온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한 판단이었다.

목차

I. 머리말
Ⅱ. 彦滿의 출생과 1640년 문위행의 파견
Ⅲ. 언만도서 요청과 조선의 대응
1. 1640~41년 교섭 –언만도서 요청
2. 1642년 교섭 –彦滿送使의 격상문제 논의
Ⅳ. 1642년 彦滿送使의 첫 출래 : 압물관 증원과 書契式例의 변경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채연 Yu, Chae-Yeon. 전북대학교 사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