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己汶·帶沙의 위치와 그 위상

원문정보

The Location and Geopolitical Topolygy of Gimun(己汶)·Daesa(帶沙)

기문·대사의 위치와 그 위상

이용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derstanding Gimun己汶 and Daesa帶沙 is an important key to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southern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is period. Gimun and Daesa were the subjects of an important struggle between Baekje and Gaya Contries and especially Banpa伴跛 ie. Gar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relevant data such as Guatizi括地志 Including the Annals of the land and Nihoshok日本書 紀,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Gimun and Daesa was confirmed as Seomjingang-River蟾津江 basin. Specifically, Gimun was near Namwon, Jeonbug and Daesa was near Hadong, Gyeongnam, which was a key point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respectivel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western part of today's Namwon, the western part of Baekdudaegan白頭大幹 and the southern part of Jangsu-gun. Gimu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e in 512, and Daesa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e between 517 and 521. During the Baekje era, the name of River tended to be named after major coastal areas. Seomjinga-R. was the name of the entire river after Gimun. In addition, the downstream of Seomjinga-R. was called Daesagang-R.帶沙江 after the geographical name Daesa. Gimun and Daesa had a high geopolitical status for Baekje in the 6th century. This is also confirmed through archaeological data excavated.

한국어

己汶과 帶沙는 6세기 전반기 百濟와 加耶諸國 특히 伴跛(가라) 사이에 중 요한 쟁탈의 대상이었다. 6세기는 백제와 신라가 국가를 확대하면서 격렬하 게 남부지방에서 협력의 이면에 상호 경쟁이 가속화되던 격동기였다. 己汶과 帶沙에 대한 이해는 이 시기 한반도 남부 역사를 상세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括地志와 日本書紀 등 관련 자료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己汶과 帶沙의 지리적 위치는 蟾津江 유역임을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 으로 己汶은 全北 南原 부근, 帶沙는 慶南 河東 부근으로 각각 蟾津江 上流 와 下流의 要衝地였다. 오늘날의 행정구역 南原市와 삼국시대 南原郡은 그 범위가 다르다. 삼국시대 南原은 오늘날의 남원 서부권 즉 白頭大幹의 서쪽 과 장수군의 남쪽 일부였다. 기문의 범위를 생각할 때 이를 중시해야 한다. 己汶은 512년에, 帶沙는 517~521년에 각각 백제의 영토가 되었다. 백제시대 대체로 江의 명칭은 연안의 주요지역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향이 있었다. 蟾 津江은 己汶 즉 基文을 따서 基文河가 강 전체의 당시 이름이었다. 또 蟾津 江의 하류는 지명 帶沙를 따서 帶沙江이라 불렀다. 이처럼 己汶과 帶沙는 6世紀 百濟에게 地政學的으로 높은 位相을 갖고 있 었다. 이는 발굴되는 고고학 자료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己汶·帶沙 蟾津江설의 재확인
III. 繼體紀 己汶·帶沙 기사의 분석
Ⅳ. 梁職貢圖의 上己文과 그 주변에 대한 이해
Ⅴ. 6세기 己汶·帶沙의 위상 -맺음말을 대신하여-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이용현 Lee, Yong-Hyeon.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