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사회적 배제의 인식과 극복으로서의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시론적 연구

원문정보

A Preliminary Study of Inclusive Arts Education to Recognize and Overcome Social Exclusion

박신의, 장웅조, 이민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direction, and structure of inclusive arts education, as promoted by Korean President Moon Jae-in’s declaration of the "first year of our inclusive nation." The concept and practice of inclusiveness allows for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social exclusion and encourages us to look beyond interpreting social problems only through the lens of poverty. To that end, we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inclusiveness in general cultural policy, and then apply our insights to arts education, beginning with cultural accessibility and the expansion of the arts participation. We suggest that inclusiveness in arts education, and a soli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inclusiveness in the arts, is critical to the task of meaningfully addressing the social exclusion that is all too often reproduced arts education contexts. Thus, we explore two dimensions of inclusive arts education: (1) a focus on those typically socially excluded (disabled people, the elderly, gender minorities, refugees, etc.); and (2) strategies for countering, overcoming, and healing from the multiple layers of social exclusion. Our emphasis is on attending to the social exclusion that results from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reflecting on conceptions and actionable practices of social inclusion and equity in arts education contexts.

한국어

본 연구는 문재인정부가 2019년을 ‘포용국가 원년’으로 선언한 이래, 포용적 문화정책 구도에서 가능한 문화예술 교육에서의 포용적 개념과 방향, 구도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포용’을 사회적 배제로 인해 발생하는 현 상으로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념으로 전제하되, 기존의 ‘빈곤’ 개념으로 접근하던 사회 문제에 대한 해석을 넘어서고자 했다. 이를 근거로 포용적 문화정책 구도를 먼저 살펴보았고, 이어서 문화예술교육에 포용적 관점을 적용 하였다.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에서는 문화 접근성(cultural accessibility)과 참여 확대라는 차원에서 출발하여, 문화예술 교육 구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배제에 주목하면서 포용의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는 개념적 정의를 제시하였 다. 결국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구도는 접근성 배제로 인한 대상(장애인, 노인, 성소수자, 난민 등)들에 집중하는 차 원과, 넓게는 사회적 배제의 복합적 요인을 점검하면서 이를 극복하고 치유하는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사회적 배제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문화적 차이’로 인한 차별과 불평등에 주목하면서 문화예술교육의 성찰이 주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포용적 문화정책의 구도
1. ‘포용국가’가 표방하는 포용과 사회적 배제
2. 포용적 문화정책의 구도
Ⅲ.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포용 개념 및 실천
1. 문화 접근성의 개념 및 당위성
2.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구도
3.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적 정의
4.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범주 및 실천단위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박신의 Park, Shin-Eui.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 장웅조 Chang, WoongJo.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조교수
  • 이민하 Lee, Minha. 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융합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