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묘호란의 동인 재고

원문정보

Rethinking the Motives of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7

계승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Nurhaci and Hong Taiji in dealing with Chosǒn Korea, this article reexamines the motives of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early 1627. It verifies that Chosǒn’s pro-Ming policy employed right after the Palace Coup of 1623 had nothing to do with the outbreak of the Manchu invasion. It also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Peace Pact of 1627 concluded between Later Jin and Chosǒn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es, objects, and motives of the sudden invasion, with the result that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ater Jin’s economic distress and the invasion. The largest problems on the negotiation table were mainly political and military affairs. Nevertheless, it is not reasonable to regard them as the key motives of the invasion because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s both Chosǒn and Later Jin encountered had been chronic for about ten years since Nurhaci first launched a military campaign against Ming China in 1618. So then, why did the war broke out suddenly only three months after the death of Nurhaci and Hong Taiji’s accession to the throne?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wo Manchu leaders we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aling with Chosǒn Korea located at the rear of Later Jin. Hong Taiji contended that Later Jin should attack and pacify Chosǒn first so that it could concentrate its military strength on the western front against Ming China. Nurhaci, however, was lukewarm about invading Chosǒn in that it would not be a good strategy to have two enemies in the front and the rear at the same time. It was the very reason why he preferred talks to war with regard to Chosǒn affairs. This article thus draws a conclusion that the direct motive of the Manchu invasion was the replacement of Khan from moderate Nurhaci to hackish Hong Taiji.

한국어

연구에서는 정묘호란의 발발 이유로 학계에 한때 정설처럼 유행한 조선의 외교 노선 변화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계해정변(인조반정)을 계기로 조선의 외교 노선이 예전의 친명사대로 분명히 변했을지라도, 후금의 조선 침공과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묘화약의 내용을 통해 침공의 원인이나 목적 등 제반 배경을 추출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1620년대 중반 후금이 겪던 경제 문제와 정묘호란 사이에는 연관성이 별로 없음을 논증하였다. 강화협상 과정에 보이는 최대 현안은 거의 다 정치ㆍ외교ㆍ군사적 사안이었다. 그렇지만 이 역시 침공의 직접 동인으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그런 정치ㆍ외교ㆍ군사적 상황은 이미 누르하치 치세부터 만성화되어 있던 일상이었지, 홍타이지가 즉위할 무렵에 갑자기 나타난 새로운 사정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묘호란은 왜 누르하치가 죽고 홍타이지가 즉위한 지 불과 석 달 만에 갑자기 전광석화처럼 발발하 였을까? 이 글에서는 누르하치와 홍타이지의 조선 정책이 처음부터 매우 달랐음에 주목하였다. 후금이 요동을 공격하기 시작한 1618년 봄부터 홍타이지가 즉위한 1626년 가을까지 9년 가까이 후금 지도부는 조선 정책을 놓고 양립하였다. 征明戰 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서는 후방의 조선을 먼저 정복해야 한다는 강경론은 홍타이 지가 이끌었다. 이에 비해, 누르하치는 조선 정복의 필요성은 인정하되 두 개의 전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불리하다는 이유로 조선 공격을 주저하였다. 이 논문 의 결론은 그런 누르하치가 죽고 강경파 홍타이지가 즉위한 사건, 곧 후금의 군주 교체가 정묘호란의 직접 동인이라는 것이다. 전략상 조선을 먼저 쳐야 한다고 줄곧 주장한 홍타이지에게는 조선 침공이야말로 이제 후금의 칸이 바뀌었음을 안팎으로 분명히 각인시키는 군사작전이 필요했다. 또한, 명나라의 ‘혈맹’이던 조선을 후금의 맹약체제 안으로 끌어들인 일은 누르하치도 하지 못하던 것을 자신이 즉위하자마자 단번에 성취한 혁혁한 전과였다. 조선에 대한 군사작전과 맹약 체결을 통해 홍타이 지는 자신의 거시적 전략이 옳았음을 만천하에 증명한 것이다. 정묘호란의 동인은 바로 여기서 찾아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반정 후 조선과 후금의 관계, 1623~1626
3. 정묘화약의 내용으로 본 침공 목적
4. 누르하치와 홍타이지의 조선 정책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계승범 Kye, Seung-bum.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